KLI

내이기형을 가진 환아의 와우신경 직경, 단면적 측정 및 인공와우이식술의 임상적 효과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인공와우이식술(Cochlear Implantation, CI)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리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술을 말한다. 특히 소아에 있어서는 CI를 통해 첫 말지각과 언어발달이 이루어지는 만큼 의미있는 술기라 할 수 있고, 언어발달 전 감각신경성 난청 소아에 있어 CI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청각 재활의 방법으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난청의 원인은 CI 전 검사 및 수술시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원인에 따라서는 수술 방법 또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중요하다. 다양한 정도의 골미로기형은 임상에서 CT 및 MRI로 확인이 가능하며, 선천성 난청 소아의 약 20~40%에서 이러한 해부학적 기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고해상도 측두골 CT는 골구조를 잘 보여주는 장점이 있어 골미로의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데 적합하며 MRI는 조영제 투약과 다양한 시퀀스를 통하여 연부조직 및 신경 구조를 정확히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내이도와 수직인 부시상축(oblique parasagittal plane) 영상을 통하여 안면신경 및 와우전정신경의 발달 및 주행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CI의 초기에는 내이기형은 전극의 삽입 및 유지, 신경의 부재, 수술 중 뇌척수액 유출 가능성 및 안면신경 손상 등의 염려로 인해 CI의 금기로 간주되었다. 1983년 비정상적인 와우의 구조를 가진 성인환자에서의 CI가 성공적으로 시행된 이래로 내이기형 환자에서도 성공적인 CI 시행이 가능하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음이 많이 보고되었다. 이후 내이기형 소아 CI를 분석한 여러 보고들을 통해 현재 내이기형 소아에서도 활발하게 수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내이기형의 유무 및 분류에 따라 CI 결과를 분석한 여러 보고들이 있었지만, 기존의 보고들은 내이기형의 분류, 와우신경의 발달 유무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내이기형 환자에서 와우신경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려는 시도는 그간 보고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와우신경이 정상적으로 관찰되는 소아 내이기형 환자에서 그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안면신경과의 비율로도 확인하면서, 추적관찰 동안 시행된 말지각검사 결과와 함께 분석하여 내이기형 소아 CI의 임상적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만 3세 이전에 CI을 시행받은 소아 중 3D DRIVE sequence (3D-driven equilibrium sequence)를 이용하여 내이도 및 와우신경의 단면이 확인이 가능하였던 107명을 대상으로, 내이도 중심부에서 와우신경, 안면신경이 개별적으로 구분이 되는 이미지에서 각 신경의 장경 및 단경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단면적을 계산하였다. 수술 후 36개월 이상 추적이 이루어진 64명의 마지막 관찰시점의 말지각검사 결과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와우신경 및 말지각검사의 결과 차이를 변수에 따라 T-test 또는 Mann Whitney U-test로 분석하고, 이변량 상관분석을 통해 와우신경 측정지표와 말지각검사 결과와의 상관을 확인하였다.
정상군 66귀과 내이기형환자의 신경 측정이 가능했던 32귀의 측정치를 비교하였을 때, 정상군에서 장경 0.83±0.11 mm, 단경 0.65±0.09 mm, 기형군에서 장경 0.73±0.13 mm, 단경 0.61±0.10 mm로 장경에서 두 군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장경 및 단경 두 지표로부터 계산되는 단면적 또한 각각 0.43±0.11 mm2, 0.36±0.10 mm2로 차이를 보였다. 기형을 분류별로 나눈 분석에서는 제 1형 불완전 분할을 가진 귀에서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제 2형 불완전 분할 귀 및 단독 전정기형 귀에서는 정상군과 차이를 보였다.
양측 와우신경이 정상적으로 발달한 내이기형군에서는 4가지의 말지각검사 지표 모두에서 정상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내이기형 분류별로 정상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제 1형 불완전 분할, 제 2형 불완전 분할 및 전정기형만 있는 군 모두 정상과 비교하여 유의한 말지각검사 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와우신경의 측정치와 언어지각검사 결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정상군에서는 직경 및 단면적과 말지각검사 점수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내이기형군과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제 2형 불완전 분할 기형에서 와우신경의 단경 및 단면적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안면신경에 대한 비율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Author(s)
하승철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8-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인공와우이식술감각신경성난청선천성난청와우기형와우신경말지각검사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57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05339
Alternative Author(s)
Seung Cheol Ha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박홍주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