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노인의 일어서서 걷기 검사(TUG)와 일어서서 장애물 걷기 검사(TUGO)의 구간별 소요시간과 활동체력과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동작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Timed Up and Go test(TUG) 및 Timed Up and Go test with obstacle(TUGO)검사를 구간별로 나누어 구간별 동작에 소요된 시간과 활동체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직립보행이 가능한 만 65세 이상 남성 51명, 여성 70명은 무선 관성 감지 장치(BTS G- WALK, Italy)를 다섯 번째 요추에 부착하여 평소 보행속도로 걸었다. TUG 및 TUGO는 ‘일어서서 걷기(sit to walk) 1구간, 앞으로 걷기(forward gait) 2구간, 첫 번째 회전(first turn) 3구간, 뒤로 걷기(backward gait) 4구간, 두 번째 회전(second turn) 5구간, 회전 후 앉기(turn to sit) 6구간’으로 구분하여 활동체력요소인 균형성, 악력, 하지 근력, 보행능력, 유연성, 민첩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구간별 동작에 소요된 시간과 활동체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처리는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을 시행하였다. 활동체력에서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성(sex)에 의한 영향을 제어한 편상관계수(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산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TUG 및 TUGO 총 시간과 구간별 소요되는 시간은 TUGO가 TUG보다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었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대상자들의 활동체력은 2017년 국민체력실태조사 U시 지역과 유사하였으며, 체력 요소 중 한발서기, 악력, 무릎신전근력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연성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한 값을 보였다. 이 항목들을 성(sex)를 제어한 편상관계수로 산출하였다. TUG 및 TUGO 총 시간과 모든 구간에서 한발서기와 악력, 무릎신전근력, CS-30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10m보행에서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능적인 이동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했다는 점과 TUG, TUGO를 각 구간별로 체력과의 연관성을 규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독립적인 보행에 어려움이 없는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활동체력과의 관련성에서 TUG 및 TUGO 동작 별 특성에 차이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허약한 노인이나 특정 질환을 가진 대상자로 TUG 및 TUGO 구간별 동작 특성과 활동체력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Author(s)
나성실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02
Type
Dissertation
Keyword
노인TUGTUGO활동체력일상생활수행능력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57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8878
Alternative Author(s)
Na Seong-Sil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신소희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Physical Education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