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뇌전증 환자의 불안과 우울이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뇌전증 환자의 불안, 우울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를 파악하고,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불안과 우울의 심리사회적 문제점을 개선하고 감정표현을 증가키시기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상관관계연구이다.
서울시 소재의 상급종합병원 신경과에서 뇌전증으로 치료받는 만 19세 이상 성인 뇌전증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전증 환자 90명의 평균 나이는 38.51±11.42세였으며 남자는 51명(56.7%), 여성은 39명(43.3%)이었다.
2. 감정표현불능증은 14명(15.6%), 불안과 우울을 가진 경우는 24명(26.7%)와 19명(21.1%)으로 나타났다.
3. 총점의 감정표현불능증은 불안(t=-4.449, p<.001), 우울(t=-6.631, p<.001), 발작 횟수(F=3.631, p=.031), 뇌전증 중등도 점수(F=7.236, p=.001), 정신과적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t=-2.025,p=.046), 복합 요법의 항경련제를 사용하는 경우(t=-2.733, p=.008), valproic acid를 사용하는 경우(t=-2.247, p=.027)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요인 1 (느낌을 잘 알지 못하는 것)의 감정표현불능증은 불안(t=-4.929, p<.001), 우울(t=-6.068, p<.001), 발작 횟수(F=6.556, p=.002), 뇌전증 중등도 점수(F=9.150, p<.001), 복합 요법의 항경련제를 사용하는 경우(t=-2.994, p=.004), levetiracetam을 사용하는 경우(t=-2.617, p=.010), oxcarbazepine을 사용하는 경우(t=-2.142, p=.03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인 2 (느낌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것)의 감정표현불능증은 불안(t=-2.835, p=.008), 우울(t=-5.143, p<.001), 뇌전증 중등도 점수(F=5.162, p=.008)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인 3 (외부 지향적 사고 유형을 가지는 것)의 감정표현불능증은 우울(t=-2.409, p=.018), valproic acid를 사용하는 경우(t=-2.390, p= .019)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뇌전증 환자의 감정표현불능증 총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이 있는 경우(β=.519, p<.001), 항경련제 사용량(β=.255, p=.004) 순으로 나타났다. 느낌을 잘 알지 못하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이 있는 경우(β=.326, p=.002), 항경련제 사용량(β=.321, p<.001), 불안이 있는 경우(β=.262, p=.009) 순으로 나타났고, 느낌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이 있는 경우(β=.427, p<.001), 중증도의 뇌전증 중증도 점수(β=-.002, p=.982), 중증의 뇌전증 중등도 점수(β=.203, p=.067) 순으로 나타났다. 외부 지향적 사고 유형을 가지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이 있는 경우(β=.215, p=.039), valproic acid를 사용하는 경우(β=.213, p=.04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감정표현불능증은 우울이 높을수록, 불안이 높을수록, 항경련제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뇌전증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긍정적 감정표현과 불안과 우울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뇌전증 질환에 대한 신체적 건강관리와 더불어 감정 및 신체 감각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수적이다. 또한 우울과 불안을 개선시키고 감정에 대한 자각과 인식을 증가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하고 적용하여 감정표현불능증의 개선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Author(s)
최은주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08
Type
Dissertation
Keyword
뇌전증감정표현불능증불안우울항경련제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58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6122
Alternative Author(s)
Choi, Eun Ju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전공
Advisor
최혜란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전공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Industry > Professional Clinical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