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내 성인 심정지 환자의 I-gel 삽입 대 기관 내 삽관의 결과 비교
- Abstract
- 병원 밖 심정지 발생 환자에서 심폐소생술 중 성문위 기구 사용이 기관 내 삽관 보다 심폐소생술 후 생존율 및 신경학적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하지만 병원 내 심정지 발생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병원 내 심정지 발생 원인의 대부분이 심장성인 경우가 많으므로, 성문위 기구의 사용이 기관 내 삽관보다 심장성 원인군에서 심폐소생술 후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내 발생한 성인 심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심정지 동안 초기 기도 관리 방법으로 성문위 기구 중 I-gel 삽입 대 기관 내 삽관 환자의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심폐소생술 중 초기 기도 관리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병원 내 심정지 발생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중 초기 기도 관리 방법에 따라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심폐소생술 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상급종합병원 일반 병동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중 병원 내 심정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 받은 환자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폐소생술 시행 중 초기 기도 관리 방법으로 I-gel 삽입한 군과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 내 심정지 발생 성인 환자의 심폐소생술 중 초기 I-gel 삽입군과 기관 내 삽관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당뇨를 동반한 경우(57.8% vs 36.8%, X2=5.964, p=.015), 심폐소생술 소요 시간[27분(interquartile range [IQR] 11-37) vs 15분(IQR 6-30), p=.010], 초기 심전도 소견(X2=9.028, p=.029)에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두 군의 임상결과 분석 결과, 28일 생존 환자, 퇴원 시 생존 환자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0분이상 ROSC 된 환자는 I-gel 삽입군 23명(51.1%), 기관 내 삽관군 94명(75.2%)으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
3. 심장성 원인군과 비심장성 원인군 간의 임상결과 분석 결과, 심장성 원인군에서 초기 I-gel 삽입군과 기관 내 삽관군이 20분이상 자발순환 회복(83.8% vs 69.1%, p=.363), 28일 생존(61.1% vs 38.2%, p=.089), 퇴원 시 생존(61.1% vs 36.4%, p=.065)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심장성 원인군에서는 초기 I-gel 삽입군과 기관 내 삽관군이 28일 생존(14.8% vs 21.4%, p=.462)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분이상 자발순환 회복(29.6% vs 80.0%, p<.001), 퇴원 시 생존(7.4% vs 27.1%, p=.034)에서는 기관 내 삽관군에서 생존한 환자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심폐소생술 후 28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여성인 경우 3.606배(95% confidence interval [CI] 1.177-11.048), 목격된 심정지 환자인 경우 3.964배(95% CI 1.020-15.40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폐소생술 중 초기 기도 관리 방법으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경우 0.188배(95% CI 0.055-0.647), 심폐소생술 시작부터 자발순환 회복까지 소요 시간 1분 증가 시 0.824배(95% CI 0.766-0.887), 심정지 원인이 비심장성인 경우 0.256배(95% CI 0.074-0.89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병원 내 심정지 발생 성인 환자의 심폐소생술 중 초기 기관 내 삽관군이 초기 I-gel 삽입군에 비해 자발순환 회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심폐소생술 후 생존율은 초기 I-gel을 삽입할 수록, 여성일 수록, 목격된 심정지 일수록, 심폐소생술 지속 시간이 짧을 수록, 심정지 원인이 심장성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 내 심정지 발생 성인 환자의 심폐소생술 중 초기 기도 관리 전략으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하는 것이 자발순환 회복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심폐소생술 후 생존율을 높이는데 I-gel과 같은 성문위 기구의 사용이 빠르게 기도 유지 및 산소를 공급하여 보다 효율적인 심폐소생술 수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국내에서 병원 내 심정지 발생 환자의 심폐소생술 중 초기 기도 관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 결과가 앞으로 이루어질 병원 내 심정지 발생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중 기도 관리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tubation (ETI) in adults with in-hospital cardiac arrest (IHCA).
Method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adult patients who had an IHCA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9 performed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Patients were excluded that Do-not-resuscitation, intubated after ROSC, and who had an invasive airway in place at the time of cardiac arrest. Also, missing and overlap data were excluded. The primary outcome was survival at 28 day. Secondary outcomes included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survival to hospital discharge (HD).
Results: Among 170 enrolled patients (median age, 65 [53-75] years, 111 [65.3%] men), 45 (26.5%) with initial I-gel insertion and 125 (73.5%) with initial ETI. Survival at 28 da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gel group vs ETI group (15 [33.3%] vs 36 [28.8%], OR=0.8, 95% CI, 0.4-1.7; P=.569).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was lower among I-gel group than ETI group (23 [51.1%] vs 94 [75.2%], OR=2.9, 95% CI, 1.4-5.9; P<.003). Hospital discharge survival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gel group vs ETI group (13 [28.9%] vs 39 [31.2%], OR=1.1, 95% CI, 0.5-2.4; P=.773).
Conclusions: Among adults with in-hospital cardiac arrest, the initial ETI inser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ROSC than initial I-gel inser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dotracheal intubation may be considered as initial airway management in IHCA.
- Author(s)
- 김다혜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병원 내 심정지; 기도 관리 방법; 성문위 기구; 기관 내 삽관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64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6120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