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만성 이명환자의 약물과 이명 재훈련 치료 후 장기 추적관찰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목적: 이명은 감각신경성 난청 환자에서 가장 흔하지만 치료하기 어려운 흔한 증상 중 하나다. 이명의 치료로 소리발생기, 청각재활, 약물 치료 및 인지 치료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Jastreboff의 이명재훈련 치료 역시 각광받고 있는 치료 중 하나다. 하지만 한국에서 이명재훈련 치료에 대한 장기간의 효과관찰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이명재훈련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치료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2010년1월부터 2017년 6월 사이, 이명을 주소로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하여 2년간 치료를 받은 환자19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순음어음청력검사, 전기와우도, 변조이음향검사, 청성뇌간반응, 이명도검사 등이 환자의 이과학적 상태 및 감별진단을 위하여 시행되었다. 환자는 약물 치료 및 이명재훈련 치료를 위한 상담을 받았으며 청력 저하가 심한 경우 청각재활을 시행하였다.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이명장애지수 (Tinnitus handicap inventory)를 작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환자군을 경증, 중등증, 중증의 3군으로 나누어 하위집단 분석을 시행하였다. 처음 이명장애지수로부터 20%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 유의한 이명장애지수의 변화로 정의하였다.
결과: 87명의 남성, 106명의 여성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연구기간은 28.0±4.9 (23~43) 개월이었다. 99(51.3%)명의 환자가 유의한 장애지수의 호전을 보였으며 71(36.8%)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23(11.9%)의 환자는 유의한 악화를 보였다.
2년의 치료 후 총점수 (7.4±6.8, p<0.05), 기능지수 (Functional score, 3.4±7.6, p<0.05), 감정지수(Emotional score, 3.3±5.8, p<0.05)의 호전을 보였으나 재앙지수(Catastrophic score, 0.7±6.5)는 유의한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군에서 총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년 이후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p<0.05). 중증군에서의 호전 정도는 경증, 중등증군의 환자보다 항상 높았다 (p<0.05)
결론: 장기간의 약물 및 이명재훈련을 통해 환자의 이명이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명의 중증도가 심한 환자에서 치료의 효과가 더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innitus has been one of the most common, but the challenging complaint of patients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SNHL). Tinnitus is commonly treated with medication and cognitive therapy after the introduction of 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 by Jastreboff in 1990. But little had been published regarding the result of long-term treatment of the symptom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outcome of patients with tinnitus in long-term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93 patients visiting clinics from Jan 1, 2010, to Jun 31, 2017, for two years of treatment. Pure tone audiometry (PTA), electrocochlear gram (ECoG),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DPOA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tinnitogram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udiologic status of patients and exclude other specific diagnoses of otologic disease. Patients were prescribed with medications like a vasoactive agent, calcium channel blocker, benzodiazepine, prostaglandins depending on the patient’s needs and the physician’s decis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 provided counseling and educated patients for tinnitus rehabilitation. All patients filled out the tinnitus handicap inventory (THI) to evaluate symptomatic change during treatm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mild, moderate, severe group (1st quartile, 2nd~3rd quartile, 4th quartile) Significant change was defined as a 20% change of initial score.
Results: 87 males and 106 females included in this study and mean follow-up was 28.0±4.9 (23 ~ 43 months). Among 193 patients, 99 patients (51.3%) showed significant THI score improvements and 71 patients (36.8%) didn’t. Twenty-three patients (11.9%) showed significantly worse THI score.
After two years of treatment, the total score was improved by 7.4±6.8 and F score (3.4±7.6), E score (3.3±5.8). (p<0.05) C score shows improvement (0.7±5.4)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the total group, the total score was gradually decreased. This trend was evident after one year (p<0.05). Improvement of THI was always better in severe group than mild and moderate group (P<0.05)
Conclusion: From this study, we proved that the persistent and trustworthy management of tinnitus patients using medication and tinnitus retraining therapy could improve patient’s desperate state. Also, patients who showed severe THI score initial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during treatments..
Author(s)
김용한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9-02
Type
Dissertation
Keyword
TinnitusTinnitus re-training therapyLong term follow up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68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74907
Alternative Author(s)
Yong Han Kim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안중호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