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수술적 치료를 받은 간세포암에서 면역관문 조절 인자가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 림프구가 관여하는 항종양 면역을 조절하는 면역 관문 단백질들이 다양한 종양에서 임상 경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받은 간세포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면역 관문 단백질의 조직학적 발현정도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근치적 간암 절제술을 시행받은 221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 환경 내 단핵구의 Programmed-cell death ligand-1 (PD-L1)의 발현, 종양 미세 환경내 단핵구의 Programmed-cell death-1 (PD-1), cytotoxic T lymphocyte antigen-4 (CTLA-4)의 발현 정도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221명의 환자들 중 종양 미세 환경내 CTLA4, PD-1, PD-L1의 발현율은 각각 32.1% (n=71), 42.5% (n=94), 35.3% (n=78)였고, 종양내 PD-L1의 발현율은 14.9% (n=33) 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따르면 성별 및 종양 크기 5cm 초과가 CTLA4 양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오즈비 0.46과 1.94; Ps<0.05). 불량한 조직 분화도는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 환경에서의 PD-L1 발현과 연관이 있었다 (오즈비 2.88 and 3.46, Ps<0.05). 미세혈관침범(Microvascular invasion)은 종양미세환경내 PD-L1의 발현과 관계가 있는데 반해, 혈청태아단백의 상승은 종양내 PD-L1의 발현과 연관이 있었다 (오즈비 2.24 and 2.45; Ps<0.05). 다변량 생존 분석시 종양미세환경 내 면역 관문 단백질의 발현은 전체 생존 및 비-암 관련 생존율 (non-cancer-related survival)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지만 (Ps<0.05), 재발까지의 시간이나 암 관련 생존율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ll Ps>0.05). PD-1:PD-L1 신호전달체계와 CTLA-4 신호전달체계의 동시 활성화는 전체 생존율 및 비-암 관련 생존율의 향상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면역 관문 단백질이 간세포암의 종양미세환경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환자의 좋은 예후, 특히 암과 관련되지 않은 생존율 연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uthor(s)
안지현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8-02
Type
Dissertation
Keyword
간암예후CTLA-4PD-L1PD-1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811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2979
Alternative Author(s)
Jihyun A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이한주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