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신경 염증 소동물 모델에서 18F-fluorodeprenyl-D2와 18F-THK5351의 MAO-B 활성도 측정 능력 평가

Metadata Downloads
Abstract
Background
In recent years, inflammatory processes have been found to be involved in the etiopathology of many neurological disorders. Being able to image neuroinflammation non-invasively in patients is critical to monitor pathological processes and potential therapies targeting neuroinflammation. To date, a range of novel radioligand tracers for glial cell have been developed to image the activations of microglia and astrocytes. Monoamine oxidase B (MAO-B) is one of the molecular targets to image astrocytes and has been expected to be a reliable neuroinflammatory biomarker for PET imaging. However, the potential ability for detection of MAO-B activity in neuroinflammatory process,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especially in acute neuroinflammatory model. In this study, we evaluated potential ability of two MAO-B binding radiotracers, 18F-fluorodeprenyl-D2 and 18F-THK5351, to visualize and quantify MAO-B activity that involves in acute neuroinflammatory process.

Materials and Methods
Adult SD rats were injec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intraperitoneally (i.p.;5-10mg/kg) and intracranially (i.c.;1ug or 10ug). After 16-24h of LPS injection, animals underwent 30 min dynamic PET/MRI scan with 18F-THK5351 (n=4, for each group) or 18F-fluorodeprenyl-D2. (n=4, for each group). Time activity curve obtained expressed as standardized value (SUV) and uptake ratio (SUVR, reference: cerebellum) using region based VOIs. For quantification of tracer uptake, region based VOIs or fixed sized VOIs were placed at 10-30 summed image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rats or unaffected contralateral hemispheres. Ex vivo cytokine array assay and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in vivo results.

Results
18F-THK5351 and 18F-fluorodeprenyl-D2 crossed BBB, bound rapidly with constant washout from rat brain on baseline scan of control group. In intraperitoneal LPS injection group, 18F-THK5351 uptake of cortex, subcortex and cerebellum increased without regional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control (1.17 ± 0.07 vs. 0.68 ± 0.05, p < 0.001); 18F-fluorodeprenyl-D2 uptake also increas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1.97 ± 0.06 vs. 1.81 ± 0.08). In intracranial LPS injection group, 18F-THK5351 uptake increased in ipsilateral hemisphere at the LPS injection site, while 18F-fluorodeprenyl-D2 uptake did not (core/contralateral ratio = 1.16 ± 0.07 vs. 1.05 ± 0.08).

Conclusion
18F-THK5351 showed increased retention in rat brain with acute neuroinflammation. But 18F-fluorodeprenyl-D2 did not show significantly increased re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18F-fluorodeprenyl-D2 might not be suitable for detection of acute neuroinflammation in rat brai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specificity of 18F-THK5351.

Key words: 18F-THK5351, 18F-fluorodeprenyl-D2, monoamine oxidase, neuroinflammati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연구배경 및 목적: 신경염증은 아교세포, 반응성 성상세포의 활성을 동반하며 이는 여러 신경질환에서 주요 병리기전으로 알려짐에 따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비 침습적으로 신경 염증을 영상화 할 수 있는 진단능은 신경염증의 병리 기전과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 하는 데 필수 적이다. 모노아민산화효소(MAO-B)는 성상 세포에 대한 표적 중 하나로 신경 염증의 PET 영상화를 위한 바이오 마커로 기대되고 있고 이를 표적으로 방사성 리간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급성 신경 염증 모델에서의 MAO-B 활성 검출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신경 염증 과정에 관여하는 MAO-B 활성도를 방사성 추적자인 18F-fluorodeprenyl-D2 과 18F-THK5351를 이용해 영상화 하고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SD 랫드를 복강 내 독소 주입 군, 두개 내 독소 주입 군의 두 군으로 나누어 복강내 주입 군은 5-10 mg/kg의 lipopolysaccharide (LPS)를 복강내 주사하였고 두개내 주입 군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1ug, 10ug의 LPS를 두개 내로 직접 주사하였다. LPS 주사 16-24 시간 후 18F-THK5351 (n=4, 각 군, 그룹 별) 또는 18F-fluorodeprenyl-D2. (n=4, 각 군, 그룹 별)을 주사한 후 PET/MRI를 이용하여 30분 동안의 동적 영상을 획득하였다. 표준섭취화계수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섭취비로 표현한 시간-방사능 곡선을 구하였고 섭취를 정량화 하기 위해 10-30분 영상에서 관심영역내의 섭취 정도를 대조군, 주사 부위 반대쪽 반구의 섭취와 비교 분석하였다. 사이토카인 분석 및 면역 조직 화학 분석을 시행하여 이를 체내영상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정상 대조군 개체에서 18F-THK5351와 18F-fluorodeprenyl-D2 모두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고 빠르게 섭취된 후 빠져나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복강 내 LPS 섭취 군에서 18F-THK5351 섭취는 피질, 피질하영역, 소뇌 영역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1.17 ± 0.07 vs. 0.68 ± 0.05, p <0.001) 18F-fluorodeprenyl-D2 섭취도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양상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1.97 ± 0.06 vs. 1.81 ± 0.08). 두개 내 LPS 주사 군에서, 18F-THK5351는 LPS 주사부위에서 증가된 섭취를 보였으나 18F-fluorodeprenyl-D2 섭취는 반대측 섭취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core/contralateral ratio = 1.16 ± 0.07 vs. 1.05 ± 0.08).

결론: 18F-THK5351는 급성 신경 염증이 있는 랫드 뇌에서 증가된 섭취를 나타내었다. 18F-fluorodeprenyl-D2 은 유의한 섭취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18F-fluorodeprenyl-D2 가 랫드 뇌에서 급성 신경 염증의 진단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18F-THK5351 섭취의 특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uthor(s)
백소라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81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6718
Alternative Author(s)
Sora Baek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김재승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