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열등감 개념 연구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개인심리학에서의 열등감 개념이 자아와 맺는 관련을 규명함으로써 열등감이 자아 긍정의 의미로 교육과 맺는 관련을 밝히는 데에 있다.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핵심 개념인 열등감은 외부 세계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주관적 감정이다. 열등감은 비교하는 대상 없이 단독으로 느낄 수 있는 감정이 아니며, 자기 인식과 타인 인식이 전제된다. 사회적 접촉의 과정을 통해 발달하는 자아는 자기 자신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외부 세계와 자신과의 비교를 통해 발생하는 열등감의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볼 때 자아와 열등감은 의미 있는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들러 개인심리학은 심층의 마음에 관해 탐구한다는 점에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만 두 이론 사이의 자아에 대한 개념은 차이를 보인다. 프로이트는 자아에 관해 단독으로 떨어져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이드와 연결되어 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한다. 자아는 이드의 힘을 누르면서 동시에 그 힘을 활용하는 것으로 수정된 부분의 이드로 간주된다. 프로이트는 자아를 인과론적 관점에서 파악하며 그 동적 자아의 원인이 되는 것을 이드라고 밝히고, 자아를 이드의 영향 아래에 있는 수동적인 존재로 파악한다. 그러나 아들러는 인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 아래에서 자아를 총체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자아를 목표를 중심으로 능동적으로 인간의 삶을 이끌어가는 것으로 설명한다. 아들러는 총체적 자아를 목적론적 관점으로 밝히며, 삶의 이상이라는 목표 추구의 과정은 삶의 방향을 제시한다고 본다. 아들러는 자아의 성장을 위한 동적 에너지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이 열등감이라고 파악하며, 인간은 열등감을 자아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성장한다고 설명한다.
아들러는 열등감을 통한 우월을 향하는 움직임은 인간의 삶에 있어 필요한 요소라고 파악한다. 정상적 범주가 아닌 과도하게 작용하는 열등감을 열등감 콤플렉스라 하며, 이것은 우월을 향하여 과도한 추구를 하는 것이다. 즉 우월감 콤플렉스는 곧 열등감 콤플렉스의 이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열등감과 열등감 콤플렉스가 다른 두 대상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같은 대상의 질적 차이로 구분 지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월감 콤플렉스는 우월감이라는 범주 아래 강한 우월감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과도한 열등감을 없애기 위한 우월의 추구는 타인보다 높은 목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타인에 대한 우월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열등감이 삶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열등감 콤플렉스로 작용한다면 타인이라는 목표가 설정된다. 그리하여 열등감을 해소하려는 과정은 삶의 성장이 아닌 타인이라는 채워지지 않는 욕망의 발현으로 자신에게서 멀어지는 과정이며, 이러한 열등감은 자아 상실로서의 열등감이라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열등감을 삶의 이상이라는 목표를 향해 끊임없는 정신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열등감의 완전한 제거는 역설적이게도 삶의 성장에 역행하는 것을 뜻하며, 열등감은 생명이 살아있는 한 계속된 움직임을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자아의 존재는 열등감으로 인한 고통으로 더욱 부각되고, 열등감과 그 해소를 통한 정신의 평형과 불평형의 반복 속에서 자아는 자신을 완전히 이해할 기회를 가진다. 열등감은 이상적 삶의 도달이라는 목표를 향해 정신의 끊임없는 동적 움직임으로 작용하며, 목표를 향한 열등감으로부터의 힘의 발동은 자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열등감은 자아 긍정으로서의 열등감이라 볼 수 있다. 진리 추구의 과정, 곧 교육이 완전한 인간을 향한 이상으로의 도달 과정이라고 할 때 자아 긍정으로서의 열등감은 이상적 표준으로서의 삶으로 다가가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relation of the inferiority to the education, the process of self-affirm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inferiority and self i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dler defines inferiority as subjective feelings that compare one’s worth with the external worth, and thus minimizes one’s self-worth. In this view inferiority cannot exist without a comparison. Therefore, recognition of self and others are prerequisites for this inferiority. Through social contact, one develops a subjective perception of self. Inferiority, and is influenced by what arise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oneself and the external world – inferiority. In that sense, inferiority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self.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is influenced by Freud’s theory of psychoanalysis in terms of studying deep minds, but the two schools of thought define the self differently. According to Freud, the ego is not independent but concept related to and influenced by the id. The ego considered to a part of id which has been modified suppresses, and also uses. Freud explains the concept of the self from a causal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to him, the id is the driving force of the ego, and the ego is a passive be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id. In contrast with Freud, Adler takes a holis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human beings. To Adler, the self is regarded as whole, and it is something that actively leads a human life to achieve an objective. Adler explains the self in a teleological perspective. According to Adler the process of achieving an objective, an ideal in life is what provides direction in one’s life. Inferiority is the one that drives the growth of the self. Adler explains that humans grow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inferiority as part of oneself.
Adler argues that a movement towards superiority, through inferiority, is an essential part of human life. Inferiority that activates in excess it’s called ‘inferiority complex’, and this leads to an excessive pursuit for superiority. In this sense, ‘superiority complex’ exists on the other side of ‘inferiority complex’. Inferiority and inferiority complex are not two different things but a single one which denotes a quantitative difference. More precisely, superiority complex results from a desire which expresses excessive superiority. Seeking for superiority, in order to overcome excessive inferiority, has an element of superiority in itself, in that one pursues a higher objective than others. Therefore, inferiority complex targets others, not oneself. Consequently, a pursuit to resolve this inferiority is expressed in terms of others, meaning that it drives one further away from the self through a pursuit of desire that cannot be satisfied. In that sense, inferiority results from in the loss of self.
But inferiority can also be explained in other ways: it may be understood as the energy for the mind to tirelessly move towards the ideal of life. Although we recognized the inferiority as pains of life, the self is realized through that inferiorit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elf in the process of the continuous cycle of having inferiority and its resolution. In that inferiority serves as an energy, and this energy provides direction required for self development, inferiority can be understood as self-affirmation. Defined education as the pursuit of truth, the inferiority leads learners to the completion of the self. The inferiority provide the energy with which one can pursue that ideal self.
- Author(s)
- 서수정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프로이트; 아들러; 개인심리학; 자아; 열등감; 우월감; 자아 상실; 자아 긍정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866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3066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