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Abstract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and analyzed whether family inter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eral trend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1-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1-2.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family interaction?
1-3.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2. What is the relation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3. What is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4.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second year in-depth survey and the sixth year general survey of 2013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Items on psychological burden of parenting from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im & Kang, 1997) were used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stress levels. To measure family interactio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Ⅳ(FACES-IV) developed by Olson(2010) were used. To measure IQ, Korea Wechsler Primary and Preschool Scale Intelligence(K-WPPSI) that was standardized by Park, Kwak, & Park(1996)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5.0: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Sobel's Test(1982) were performed.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moderate, and the average stress of mothers with boys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mothers with girls even 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xt, mothers reported that their feelings and thoughts on quantity of family interaction were, on average moderat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Children's average intelligence(performance IQ, verbal IQ, and full scale IQ) was in the range of average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econd,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children's intelligence(performance intelligence, verbal intelligence and full scale intelligence). More specifically,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interaction, while family interaction and children's intelligence in tur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intelligence.
Third,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interaction, preschool children’s full scale intelligence, performance intelligence, and verbal intelligence. Regressional analyses show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explained the 7 percent of variability of verbal IQ while they explained 2 percent of variability of performance IQ, and they explained the 20 percent of variability family interaction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verbal intelligence. While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the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erformance intelligence.
These findings replicated the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and family interaction are related to children’s intelligence and extended the previous literature by using a large scale nation-wide dataset and showed that these family factors may ha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verbal IQ than their compared to performance IQ.
Finally,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verbal IQ, but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was observed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erformance IQ.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ing stress may have differential effect on children’s verbal and performance IQ. Togethe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that reduce parenting stress and promote more positive family interaction are needed to foster Korea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상호작용 및 유아지능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가족상호작용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가족상호작용, 유아지능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1.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2. 가족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3. 유아지능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가족상호작용, 유아지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가족상호작용과 유아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일반조사(2013년)와 2차 심층조사(2013)에 모두 참여한 만 5세 유아와 이들의 어머니 22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어머니의 심리적 부담감과 어머니가 인지하는 디스트레스를 반영하는 요인만 인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족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Olson(2010)이 개발한 가족적응·응집척도(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Ⅳ, FACES-Ⅳ)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1996)가 표준화한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orea Wechsler Primary and Preschool Scale Intelligence, K-WPPS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에서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가족상호작용, 유아지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자녀양육의 어려움이 중간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어머니보다 남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가족상호작용에서 가족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이 중간이상 수준(대체로 좋다)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어머니보다 여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동작성지능과 언어성지능, 전체지능은 평균지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성지능과 언어성지능을 포함한 전체지능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았으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동작성지능, 언어성지능, 전체지능과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가족상호작용은 유아의 동작성지능, 언어성지능, 전체지능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상호작용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가족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동작성지능, 언어성지능, 전체지능 각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동작성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없었으며,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언어성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상호작용, 유아의 동작성지능과 언어성지능을 포함한 전체지능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언어성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이 부분매개함을 입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가족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러한 영향이 유아의 언어성지능 발달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유아기 인지 및 언어성 지적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가족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
- Author(s)
- 김아름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가족상호작용; 유아지능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89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5165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