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 경찰부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Current Status of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and Policy Recommendation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
Abstract
이 연구는 경찰관에 의한 보안유출범죄를 경찰부패와 결부지어 유형화하고, 그 실태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근절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4년간의 공무상 비밀 누설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건의 제1심 판결문 중 피고인이 경찰공무원인 경우를 대상으로 보안유출범죄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의 약 80%가 외부 업자와의 유착관계에서 비롯되었거나 뇌물수수 등 대가성을 띠고 있었고, 제1심에서 유죄선고를 받은 보안유출범죄는 모두 수사ㆍ생활안전 2개 분야에서만 발생했으며, 유출자의 절반 이상이 경찰서 소속 인력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i) 보안유출이 집중되고 있는 수사 및 생활안전분야 경찰관 대상 특단의 보안대책 수립ㆍ시행, (ii) 보안유출에 대한 내부감찰 강화 및 보안유출혐의를 경찰부패 수사의 단서로 활용, (iii) 공무상 비밀누설 교사ㆍ방조자에 대한 형사처벌 조항 신설 등 경찰관의 보안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Author(s)
이장욱
Issued Date
2021
Type
Article
Keyword
경찰관보안유출경찰부패대가성유착Police OfficersSecurity LeakagePolice CorruptionQuid pro QuoCollusion
DOI
10.24055/kaps.23.4.3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336
https://ulsan-primo.hosted.exlibrisgroup.com/primo-explore/fulldisplay?doc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9854125&context=PC&vid=ULSAN&lang=ko_KR&search_scope=default_scope&adaptor=primo_central_multiple_fe&tab=default_tab&query=any,contains,%EA%B2%BD%EC%B0%B0%EA%B4%80%EC%9D%98%20%EB%B3%B4%EC%95%88%EC%9C%A0%EC%B6%9C%EB%B2%94%EC%A3%84%20%EC%8B%A4%ED%83%9C%EB%B6%84%EC%84%9D%20%EB%B0%8F%20%EC%A0%95%EC%B1%85%EC%A0%9C%EC%96%B8%20-%20%EA%B2%BD%EC%B0%B0%EB%B6%80%ED%8C%A8%EC%99%80%EC%9D%98%20%EA%B4%80%EA%B3%84%EB%A5%BC%20%EC%A4%91%EC%8B%AC%EC%9C%BC%EB%A1%9C%20-&offset=0&pcAvailability=true
Publisher
한국경찰학회보
Location
대한민국
Language
한국어
ISSN
1598-6829
Citation Volume
23
Citation Number
4
Citation Start Page
51
Citation End Page
76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 > Social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