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형제자매의 장애 유무에 따른 청소년의 부모화 유형과 거부민감성 및 우울과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lations between Parentification Types,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Comparison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Disability
Abstract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의 세 가지 하위요인(도구적 돌봄, 정서적 돌봄, 불공정성)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형제자매의 장애 유무에 따라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형제자매의 장애 유무와 부모화 유형이 거부민감성과 우울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청소년(비장애 형제자매) 130명과, 비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청소년(일반 형제자매) 14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화의 잠재프로파일은 4개로 분류되었으며, 부모화의 세 하위요인이 모두 낮은 ‘저-부모화’, 세 하위요인이 모두 중간 수준인 ‘중-부모화’, 도구적 돌봄과 정서적 돌봄이 높은 ‘고-부모화Ⅰ: 도구-정서형’, 세 하위요인이 모두 높은 ‘고-부모화Ⅱ: 역기능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들 중 ‘고-부모화Ⅰ: 도구-정서형’과 ‘고-부모화Ⅱ: 역기능형’에는 비장애 형제자매의 소속 비율이 높았다. 또한, 형제자매의 장애 유무와 부모화 유형은 상호작용하며 거부민감성과 우울 수준에 영향을 주었다. 즉, ‘고-부모화Ⅰ: 도구-정서형’과 ‘고-부모화Ⅱ: 역기능형’의 경우, 비장애 형제자매 집단의 거부민감성과 우울 수준이 일반 형제자매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uthor(s)
최현주
Issued Date
2021
Type
Article
Keyword
장애인 형제자매비장애 형제자매부모화거부민감성우울잠재프로파일
DOI
10.23844/kjcp.2021.11.33.4.1715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374
https://ulsan-primo.hosted.exlibrisgroup.com/primo-explore/fulldisplay?doc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9888743&context=PC&vid=ULSAN&lang=ko_KR&search_scope=default_scope&adaptor=primo_central_multiple_fe&tab=default_tab&query=any,contains,%ED%98%95%EC%A0%9C%EC%9E%90%EB%A7%A4%EC%9D%98%20%EC%9E%A5%EC%95%A0%20%EC%9C%A0%EB%AC%B4%EC%97%90%20%EB%94%B0%EB%A5%B8%20%EC%B2%AD%EC%86%8C%EB%85%84%EC%9D%98%20%EB%B6%80%EB%AA%A8%ED%99%94%20%EC%9C%A0%ED%98%95%EA%B3%BC%20%EA%B1%B0%EB%B6%80%EB%AF%BC%EA%B0%90%EC%84%B1%20%EB%B0%8F%20%EC%9A%B0%EC%9A%B8%EA%B3%BC%EC%9D%98%20%EA%B4%80%EA%B3%84&offset=0&pcAvailability=true
Publisher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Location
대한민국
Language
한국어
ISSN
1229-0688
Citation Volume
33
Citation Number
4
Citation Start Page
1715
Citation End Page
1737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 > Social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