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대학생의 자기애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SNS 중독경향성 및 자기대상 경험과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HN), 방어적 자기애(DN),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 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규명하고,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대상 경험이 이러한 프로파일분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448명의 자료를 수집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한 자기애(HN), 방어적 자기애(DN),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은 4개로 분류되었다. 이들은HN-DN-FoMO가 모두 보통인 ‘평균집단’, HN은 높고 DN, FoMO는 낮은 ‘심리적 안정집단’, HN은 낮고 DN, FoMO는 높은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 HN은 보통이고 DN, FoMO는 높은‘소외불안-취약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네 집단은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대성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다. SNS 중독경향성의 경우,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과 소외불안-취약집단의 평균이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평균집단, 심리적 안정집단 순서였다. 자기대상경험의 경우, 심리적 안정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평균집단과 소외불안-취약집단이었다.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의 평균은 가장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uthor(s)
남숙경최현주
Issued Date
2021
Type
Article
Keyword
자기애소외에 대한 두려움자기대상경험SNS 중독경향성잠재프로파일
DOI
10.30593/JHUC.42.2.3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376
https://ulsan-primo.hosted.exlibrisgroup.com/primo-explore/fulldisplay?doc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9920863&context=PC&vid=ULSAN&lang=ko_KR&search_scope=default_scope&adaptor=primo_central_multiple_fe&tab=default_tab&query=any,contains,%EB%8C%80%ED%95%99%EC%83%9D%EC%9D%98%20%EC%9E%90%EA%B8%B0%EC%95%A0%EC%99%80%20%EC%86%8C%EC%99%B8%EC%97%90%20%EB%8C%80%ED%95%9C%20%EB%91%90%EB%A0%A4%EC%9B%80%EC%9D%98%20%EC%9E%A0%EC%9E%AC%ED%94%84%EB%A1%9C%ED%8C%8C%EC%9D%BC%20%EB%B6%84%EC%84%9D:%20SNS%20%EC%A4%91%EB%8F%85%EA%B2%BD%ED%96%A5%EC%84%B1%20%EB%B0%8F%20%EC%9E%90%EA%B8%B0%EB%8C%80%EC%83%81%20%EA%B2%BD%ED%97%98%EA%B3%BC%EC%9D%98%20%EA%B4%80%EB%A0%A8%EC%84%B1&offset=0&pcAvailability=true
Publisher
인간이해
Location
대한민국
Language
한국어
ISSN
2005-0860
Citation Volume
42
Citation Number
2
Citation Start Page
35
Citation End Page
57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 > Social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