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Design Applying Space Branding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지역 농업의 약해진 경쟁력의 대안으로 1차산업 농업과 2차산업 제조·가공, 3차산업 서비스가 융복합된 6차산업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고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에서는 생산·가공에 체험·관광·판매 등 서비스업을 연계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6차산업의 양적인 정책지원과 비교하여 6차산업의 서비스공간은 질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질적 향상과 지역의 가치실현을 위하여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6차산업 서비스공간과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해당 용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정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국내 6차산업 서비스공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방향을 설정 후 공간을 설계하고 공사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적용 대상은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인 소이빈삼동이다. (결과)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지역 산업을 위한 교류 형성의 시작점으로,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과 유지 그리고 지역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이 기반이 되는 차별성 있는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현재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표현방법으로 공간이 계획되어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결론) 6차산업 서비스공간에서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은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인상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정보를 공간디자인을 통해 전달할 수 있어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전략이 된다.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은 소비자에게 반복적이지만 새로운 경험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소비자와의 관계를 활성화한다. 이로써 지역 산업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고 질적인 측면과 지속 가능한 측면에서 지역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Author(s)
김범관김지선
Issued Date
2021
Type
Article
Keyword
6th IndustryService SpaceSpatial DesignSpace BrandingComponent6차 산업서비스공간공간디자인스페이스 브랜딩구성요소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398
https://ulsan-primo.hosted.exlibrisgroup.com/primo-explore/fulldisplay?doc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9875238&context=PC&vid=ULSAN&lang=ko_KR&search_scope=default_scope&adaptor=primo_central_multiple_fe&tab=default_tab&query=any,contains,%EC%8A%A4%ED%8E%98%EC%9D%B4%EC%8A%A4%20%EB%B8%8C%EB%9E%9C%EB%94%A9%EC%9D%84%20%EC%A0%81%EC%9A%A9%ED%95%9C%206%EC%B0%A8%EC%82%B0%EC%97%85%20%EC%84%9C%EB%B9%84%EC%8A%A4%EA%B3%B5%EA%B0%84%20%EB%94%94%EC%9E%90%EC%9D%B8%20%EC%97%B0%EA%B5%AC&offset=0&pcAvailability=true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Location
대한민국
Language
한국어
ISSN
1976-4405
Citation Volume
16
Citation Number
7
Citation Start Page
351
Citation End Page
364
Appears in Collections:
Arts > Textile Desig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