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울산 천전리 각석과 신성 공간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천전리 각석에 새겨진 암각화와 명문은 이 바위가 오랜 기간 많은 이들에
게 특별한 곳이었음을 알게 한다. 빠르면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사람들이 찾았
던 이 바위는 신령스러운 존재, 곧 신이 머무는 곳이었고, 사람과 신의 교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한가운데 있었다. 깊은 골짝의 개울 옆에 서 있는 특별히
크고 편평하며 앞으로 약간 숙인 이 바위를 찾은 이들은 둘레에 신비한 기운
이 흐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천전리 각석과 그 주변은 신성 공간이라는 관념이 적용될 수 있는 곳이어
서 선사시대부터 끊임없이 사람들의 방문을 받았다. 사냥꾼 사회 사람들은 그
들의 사냥이 성공하기를 빌며 바위에 점 쪼기 동물문을 남겼고, 농사꾼 사회
를 꾸리던 이들은 그들의 한 해 농사가 풍작으로 끝나기를 간절히 바라며 깊
게 갈아 새긴 선 쪼기 기하문을 바위에 새겼다.
역사시대에도 천전리 각석과 그 둘레는 신성한 공간으로 여겨졌다. 이 바위
를 찾은 사람들은 가는 선 그림으로 그들의 방문을 알렸고, 漢字로 이름을 새
겨 바위에 머문 신이 그들을 기억하기를 바랐다. 신라 법흥왕의 동생 사부지
갈문왕 일행도 이 신성 공간 안에 들어오기 위해 신라 왕경의 끄트머리에 있
는 오랜 골짝을 찾았다.
사부지갈문왕 일행이 천전리 각석에 남긴 원명, 뒤이어 사부지갈문왕의 아
들 심맥부지와 어머니 지몰시혜비 일행이 다시 이곳을 찾아 새긴 추명은 신라
왕경 사람들이 이 신성 공간을 다시 인식하고 찾는 계기가 되었다. 한동안 천
전리 각석은 신라 왕가 사람들과 왕경의 귀족이 자주 찾는 신성한 곳이 되었
다. 이곳을 찾은 신분 높은 이들은 저들의 이름을 바위에 새겨 그들이 다녀갔
음을 기억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법흥왕의 주도로 불교가 공인되고, 사부지갈문왕의 아들 심맥부지
가 진흥왕으로 즉위하여 불교 전파에 앞장서면서 천전리 각석을 찾는 왕경 귀
족들의 발길은 뜸해지기 시작했다. 불교사원이 새로운 신성 공간으로 인식되
고, 불교 승려들이 전통신앙의 사제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천전
리 각석에 부여되었던 신라 왕가와 귀족들의 신성 공간으로서의 위상도 점차
약해졌다.
신라 왕가 사람들과 귀족들의 발길은 뜸해졌지만, 신성 공간으로서의 천전
리 각석의 기능과 역할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도
도시 중심, 귀족 중심 불교는 신앙 전파의 대상으로 일반 백성을 소외시키고
있었다. 이런 까닭에 귀족들이 거의 찾지 않게 된 뒤, 평범한 사람들은 민간신
앙의 대상으로 천전리 각석을 부지런히 찾았다. 이들에게 천전리 각석은 왕가
사람들과 귀족들도 찾았던 의미 있는 곳이었고, 여기에서 신에게 기도하면 아
기를 가진다든가, 굶지 않고 지낼 수 있게 신이 돕는 신령스러운 장소였다. 특
별히 왕가 사람들이 남긴 원명과 추명의 위나 둘레에 선을 긋고, 한자로 된
명문을 새기면 기도의 효험이 더한다고 여겼으므로 이 긴 명문 둘레는 수없이
덧대어 그은 선과 단자, 단구로 가득하게 되었다.
Author(s)
전호태
Issued Date
2021
Type
Article
Keyword
천전리 각석암각화명문신성 공간불교
DOI
10.17857/hw.2021.12.60.95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462
https://ulsan-primo.hosted.exlibrisgroup.com/primo-explore/fulldisplay?doc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9916142&context=PC&vid=ULSAN&lang=ko_KR&search_scope=default_scope&adaptor=primo_central_multiple_fe&tab=default_tab&query=any,contains,%EC%9A%B8%EC%82%B0%20%EC%B2%9C%EC%A0%84%EB%A6%AC%20%EA%B0%81%EC%84%9D%EA%B3%BC%20%EC%8B%A0%EC%84%B1%20%EA%B3%B5%EA%B0%84&offset=0&pcAvailability=true
Publisher
역사와 세계
Location
대한민국
Language
한국어
ISSN
2005-0143
Citation Volume
60
Citation Number
1
Citation Start Page
95
Citation End Page
122
Appears in Collections:
Humanities > History and Cul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