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고구려 오회분4호묘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고구려의 오회분4호묘는 국내성 지역에서 축조된 가장 늦은 시기의 벽화고분이다. 6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평가되는 오회분4호묘 벽화는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이 수도인 평양 일대와 구별되는 개성적 색채가 뚜렷한 문화를 발전시켰음을 보여준다. 이는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이 예맥계 문화를 기반으로 외래의 문화를 수용, 소화한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통구사신총과 오회분5호묘 벽화를 잇는 작품이다. 5~6세기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운기화생 표현이 국내성 지역과 평양 일대의 6세기 고분벽화에 보이지만, 두 지역의 벽화는 색감이나 필선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강렬하고 역동적이며 화려한 국내성 지역 고분벽화와 달리 평양 일대 고분벽화는 세련되고 부드러우며 차분하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앞 시기 국내성 지역 고분벽화 보다 필선이 세련되고 벽화 제재도 정돈되어 배치되었다. 그런데도 오회분4호묘 벽화는 제재 구성과 표현 기법에서 평양 지역의 6세기 고분벽화와 차이를 보인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고구려 고유의 신화체계를 형상화하여 나타낸 점에서 평양 일대의 6세기 고분벽화 및 중국 남북조시대 6세기 회화와 구별된다. 오회분4호묘 벽화를 비롯한 국내성 지역의 고분벽화가 큰 틀에서는 동아시아 다른 지역의 회화, 특히 장의 미술과 다르지 않지만, 세부적인 제재 구성과 표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국내성 지역 문화의 개성과 보수성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오회분4호묘 벽화는 앞 시기의 충분히 다듬어지지 않은 관념 체계의 표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비교적 잘 정리된 신화체계를 세련되게 표현해냈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이런 점에서 고구려 국내성 화파의 개성적인 회화 세계를 잘 구현해낸 사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Author(s)
전호태
Issued Date
2021
Type
Article
Keyword
고구려오회분4호묘국내성 화파지역 문화예맥 문화
DOI
10.52271/PKHS.2021.12.121.141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465
https://ulsan-primo.hosted.exlibrisgroup.com/primo-explore/fulldisplay?doc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9905770&context=PC&vid=ULSAN&lang=ko_KR&search_scope=default_scope&adaptor=primo_central_multiple_fe&tab=default_tab&query=any,contains,%EA%B3%A0%EA%B5%AC%EB%A0%A4%20%EC%98%A4%ED%9A%8C%EB%B6%844%ED%98%B8%EB%AC%98%20%EC%97%B0%EA%B5%AC&offset=0&pcAvailability=true
Publisher
역사와경계
Location
대한민국
Language
한국어
ISSN
1598-625X
Citation Volume
1
Citation Number
121
Citation Start Page
141
Citation End Page
177
Appears in Collections:
Humanities > History and Cul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