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구 재처리 세척 업무 직원의 개인보호구 착용 이행 영향요인
- Abstract
- 연구 목적: 의료기구 재처리 세척 업무 직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환경에 대한 인식, 개인보호구 착용 이행도를 확인하고 이행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서울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의료기구 재처리 세척 업무를 시행하는 부서(중앙공급실, 수술실, 일반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분만장, 외래, 투석실, 검사실 등)에서 의료기구 재처리 세척 업무를 시행하는 간호조무원 1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인보호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환경에 대한 인식, 이행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Mann-Whitney, Kruskal-Wall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보호구에 대한 지식은 평균 9.36±0.83, 태도는 4.90±0.24, 안전환경에 대한 인식은 4.47±0.51, 이행도는 4.48±0.62이었다. 태도는 안전환경에 대한 인식(r=.331,p<.001), 개인보호구 착용 이행도(r=.617, p=.042)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안전환경에 대한 인식 중 개인보호구 상시 이용 가능성(r=.666,p<.001), 직무 방해요인의 제거(r=.172,p=.036), 최소한의 대립/원활한 의사소통(r=.181,p=.027)이 개인보호구 착용 이행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료기구 재처리 세척 업무 직원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부서(β=.260, p<.001), 업무 중 세척이 차지하는 비중(β=.221, p=.002), 개인보호구 상시 이용 가능성(β=.384, p=.<.001), 직무 방해요인의 제거(β=.143, p=.013)이었으며 설명력은 67.2%이었다.
연구 결론: 의료기구 재처리 세척 업무 직원의 개인보호구 착용 이행은 부서, 업무 중 세척 업무가 차지하는 비중, 개인보호구 상시 이용 가능성, 직무 방해요인의 제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환경을 구성하고 세척 업무 직원의 특성을 고려한 주기적 교육과 제도적 모니터링을 통하여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세척 환경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leaning staffs’ knowledge, attitudes, awareness of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on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And to find factors that affect the compliance on the use of PPE in cleaning staffs’during cleaning of medical instrument reprocess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9 nursing assistants in general hospitals in Seoul city. who perform medical instrument reprocessing cleaning in various departments (central supply room, operating room, general ward, intensive care unit, emergency room, delivery room, outpatient, dialysis room, laboratory, etc.).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eaning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PPE knowledge, attitudes, awareness of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in a self-reported forma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Kruskal-Wall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Knowledge of PPE averaged 9.36±0.83, attitude 4.90±0.24, awareness of safety climate 4.47±0.51, and compliance degree 4.48±0.62. Attitud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wareness of safety climate (r=.331, p<.001) and PPE compliance (r=.617, p=.042), and PPE availability (r=.666, p<.001), absence of job hindrances (r=.172, p=.036), minimal conflict/good communication (r=.181, p=.027)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mpliance of wearing PP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of the compliance of medical equipment reprocessing and cleaning staff is department (β=.260, p<.001), the proportion of cleaning in the work (β=.221, p=.002), PPE availability (β=.384, p<.001), absence of job hindrances (β=.143, p=.013) and has an explanatory power of 67.2%.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ompliance of PPE use by medical equipment reprocessing cleaning staff is affected by department, proportion of cleaning in the work, PPE availability, absence of job hindran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nsure a safe cleaning environment from infection through the support of a safety climate and periodic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eaning staff and institutional monitoring.
- Author(s)
- 신경숙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개인보호구; 의료기구 세척; 지식; 태도; 안전환경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733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9456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