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중환자실 환자의 의료기기 관련 욕창 특성과 위험요인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pressure injury related to medical devices in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From July 1, 2019 to June 30, 2021, patients who entered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edical device-related pressure ulcer characteristics. The medical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y incidence group was 154 and the non-occurrence group was 308.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WIN 27.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Mann-Whiney U test, x^2 test, or Fisher’s exact test. Risk factors for medical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ie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98 medical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ies among 154 subjects who had medical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ies, with an average of 1.29 pressure injuries per person.
Second, stage2 and deep tissue injury we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stage1, stage3, and unstageable. The medical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ies were most frequently located on the nose, ears, forehead, arms, cheeks and lips, with nasogastric tubes being the leading cause of the pressure injuries, followed by endotracheal tubes among invasive oxygen supply devices. Other occurrences included non-invasive oxygen supply devices, other medical devices, monitoring devices, catheters, preventing devices against vein thrombosis, neurosurgery devices, and orthopedic treatment devices.
Third, the risk factors for medical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ies included a male (odds ratio [OR]=1.778, 95% confidence interval [CI]=1.116-2.833), the department at the time of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OR=4.287, 95% CI=2.009-9.151),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surgery (OR=0.429, 95% CI=0.253-0.729), application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machines (OR=2.715, 95% CI=1.060-6.954), number of medical devices (OR=1.164, 95% CI=1.045-1.298), administration of inotropic drugs (OR=2.334, 95% CI=1.186-4.594), and sedatives (OR=2.525, 95% CI=1.171-5.445).

The above results made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pressure injuries associated with medical devices. It is needed to recognize the risk factors for medical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ies in patients of intensive care units and to develop a preventive strategy plan.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의 의료기기 관련 욕창 특성과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9년 7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A 상급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 중 의료기기 관련 욕창 발생군 154명과 미발생군 30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의료기기 관련 욕창 특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의료기기 관련 욕창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중위수와 범위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또는 Mann-Whitney U test, x^2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의료기기 관련 욕창의 위험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기기 관련 욕창이 발생한 대상자 154명에게서 198건의 의료기기 관련 욕창이 발생하였으며, 한 명당 평균 1.29건의 욕창이 발생하였다.
둘째, 의료기기 관련 욕창 단계는 stage2와 심부조직손상이 많았으며, stage1, stage3, unstageable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관련 욕창 발생 위치는 코, 귀, 이마, 팔, 볼, 입술 등 순이었다. 의료기기 별 의료기기 관련 욕창 분석 시 비위관에 의해 가장 많은 욕창이 발생하였으며, 침습적 산소공급 기구 중 기관 내 삽관 튜브가 두번째를 차지하였다. 이 외에 비침습적 산소공급 기구, 기타 의료기기, 모니터 장비, 카테터, 정맥혈전 예방기기, 신경외과 및 정형외과 치료기기 순서로 발생하였다.
셋째, 의료기기 관련 욕창의 위험요인은 남성(Odds ratio [OR]=1.778, 95% Confidence interval [CI]=1.116-2.833), 중환자실 입실 시 진료과(OR=4.287, 95% CI=2.009-9.151), 수술 후 중환자실 입실(OR=0.429, 95% CI=0.253-0.729), 체외막 산소공급 기기 적용(OR=2.715, 95% CI=1.060-6.954), 의료기기 개수(OR=1.164, 95% CI=1.045-1.298), 승압제 투약(OR=2.334, 95% CI=1.186-4.594), 진정제 투약(OR=2.525, 95% CI=1.171-5.445)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의료기기 관련 욕창의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는 중환자실 환자의 의료기기 관련 욕창의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uthor(s)
조미현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Keyword
중환자실의료기기욕창위험요인환자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738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1867
Alternative Author(s)
Jo Mi Hyeo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전공
Advisor
최혜란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전공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Industry > Professional Clinical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