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 후 열성 호중구감소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암환자의 패혈성쇼크 위험요인
- Abstract
- 목적: 항암화학요법 후 열성 호중구감소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암환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패혈성쇼크 발생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2018 년 1 월 1 일부터 2018 년 12 월 31 일까지 항암화학요법 후 열성 호중구감소증으로 서울 소재 일 상급 종합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430 건의 암환자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은 증례보고서를 이용하여 전자의무기록으로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항암화학요법 관련 특성, 임상적 특성, 응급실 관련 특성을 조사한 후 대상자의 패혈성쇼크 비발생군과 발생군의 특성 차이를 확인하고, 패혈성쇼크 위험요인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 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430 건의 열성 호중구감소증 사례 중 패혈성쇼크 비발생군은 388 건(90.2%), 발생군은 42 건(9.8%)이었다. 항암화학요법 후 열성 호중구감소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암환자의 패혈성쇼크 위험요인은 남성(Odds Ratio [OR]: 2.272,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3~4.479, p=.018),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2, 3, 4 등급(OR: 3.553, CI: 1.748~7.221, p<.001), 마지막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후 응급실 내원까지 경과일(OR: 0.923, CI: 0.853~0.999, p=.047), 수축기 혈압(OR: 0.960, CI: 0.932~0.988, p=.006), 균혈증(OR: 21.602, CI: 7.204~64.773, p<.001), KTAS 1, 2 단계(OR: 18.663, CI: 6.222~55.976, p<.001)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항암화학요법 후 열성 호중구감소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암환자의 특성과 패혈성쇼크 위험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상에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를 사정하고 패혈성쇼크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Author(s)
- 안혜정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응급실; 암; 열성 호중구감소증; 패혈성쇼크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746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1122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