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ttempting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mechanism in post-traumatic growth and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hat trauma experience of healthcare workers participating in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have.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70 healthcare workers, in a way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who have experience in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at least once at three tertiary general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6, 2021, upon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to September 30, 2021.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dimens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trauma experience, coping flexibility, post-traumatic growth, and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ROCESS macro (4.0 version) was used for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was 0.44±0.50 out of 4, mean score of coping flexibility was 9.11±2.43 out of 14, mean score of post-traumatic growth was 2.97±0.88 out of 5, and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was 3.42±.44 out of 5.

2.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features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3.29, p=.013), emotional difference in brain death depending on their of brain death age(t=4.09, p<.001), and experience of ethical dilemma(t=4.01, p<.001)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uma experience. Regarding coping flexibility, the age(F=3.13, p=.046), marital status(t=-2.92, p=.004), occupation(F=4.19, p=.003), clinical career(F=3.92, p=.010),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3.35, p=.012), and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2.58, p=.039)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gender(t=-2.30 p=.023),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5.19, p<.001), and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3.23, p=.014)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marital status(t=-2.55, p=.012), occupation(F=11.48, p<.001),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4.44, p=.002),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8.06, p<.001), knowledge about process of declaring brain death(t=2.23, p=.027), and education about organ donation(t=2.03, p=.046)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has shown between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the subjects and coping flexibility(r=-.16, p=.043), and it has positive 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r=.20, p=.008). Coping flexibility was shown to have positive 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r=.20, p=.011) and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r=.31, p<.001).

4. Among interference effects of the paths leading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to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via coping flexibility, the path of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95% bootstrap CI=-.0823, -.0045). The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showed negative effect on path to coping flexibility(X on Y, B=-0.94, p=.011). Moreover, coping flexibility showed positive effect(M on Y, B=0.04, p=.005) on the path to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that trauma experience of healthcare workers participating in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ha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rauma experience had no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on post-traumatic growth, but it had full mediated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terventional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coping flexib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order to regularly check psychological trauma of healthcare workers, identify those at high risk, and foster the positive attitude of healthcare workers toward organ donation.
|장기기증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는 뇌사자 가족의 기증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은 뇌사자가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감정을 마주하게 되는데, 일부 의료진들은 슬픔, 공허함, 분노와 같은 외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서 경험하는 외상에 심리적으로 적응하여 성장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대처유연성의 역할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 대처유연성, 외상후성장 및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1년 6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3개의 상급종합병원과 1개의 종합병원에서 뇌사자 장기기증 수술에 1회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의료진 총 170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장기적출수술 관련 특성, 외상경험(Impact of Event Scale, IES), 대처유연성(The Perceived Ability to Cope with Trauma scale, PACT), 외상후성장(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4.0 version)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0.44±0.50점, 대처유연성은 14점 만점에 평균 9.11±2.43점, 외상후성장은 5점 만점에 평균 2.97±0.88점이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2±.44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장기적출수술과 관련 특성 중 외상경험에서는 수술참여횟수(F=3.29, p=.013), 뇌사자 나이에 따라 수술에 임하는 마음가짐의 변화(t=4.09, p<.001), 윤리적 딜레마 경험 여부(t=4.0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처유연성에서는 연령(F=3.13, p=.046), 결혼상태(t=-2.92, p=.004), 직종(F=4.19, p=.003), 임상경력(F=3.92, p=.010), 수술참여횟수(F=3.35, p=.012), 수술참여시기(F=2.58, p=.03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상후성장에서는 성별(t=-2.30, p=.023), 수술참여횟수(F=5.19, p<.001), 수술참여시기(F=3.23, p=.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서는 결혼상태(t=-2.55, p=.012), 직종(F=11.48, p<.001), 수술참여횟수(F=4.44, p=.002), 수술참여시기(F=8.06, p<.001), 뇌사판정절차 지식(t=2.23, p=.027), 장기기증에 관한 교육 여부(t=2.03, p=.04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은 대처유연성과 유의한 음의 관계(r=-.16, p=.043)가 나타났고, 외상후성장과는 양의 관계를 나타났다(r=.20, p=.008). 대처유연성은 외상후성장(r=.20, p=.011)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r=.31,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이 대처유연성을 경유하여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 중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95% bootstrap CI = -.0823, -.0045).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이 대처유연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부적영향을(X on M, B=-0.94, p=.011) 나타났으며, 대처유연성이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로 가는 경로에서는 정적 영향을(M on Y, B=0.04, p=.005) 나타났다.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상경험과 외상후성장에서는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가 없었지만 외상경험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진의 심리적 외상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의료진의 긍정적인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함양하기 위하여 개인의 대처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Author(s)
김건영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Keyword
뇌사자 장기적출외상경험대처유연성외상후성장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76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4568
Alternative Author(s)
Kim, Geonyoung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고상진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Nursing > 1. Theses(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