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중환자실 간호사의 갈등관리 방법과 극복력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Abstract

This research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nsive care unit nurses’methods on conflict management and resilience affect their retention intention.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are 130 intensive care unit nurses with at least three months of professional experience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Ulsan city. The research method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July 1st to July 31st, 2021.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Dunnett T3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help of SPSS/WIN 28.0 Korean version.

The study shows following results.

1. The conflict method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consist of an integrating type with an average of 3.40±0.52, an obliging type with an average of 3.48±0.63, a compromising type with an average of 3.35±0.55, an avoiding type with an average of 3.02±0.77, and a dominating type with an average of 2.64±0.65. The resilience of participants is an average of 3.59±0.38. In detail, a dispositional pattern with an average of 3.40±0.52, a relational pattern with an average of 3.83±0.39, a situational pattern with an average of 3.64±0.40, a philosophical pattern with an average of 3.60±0.6 and a professional pattern with an average of 3.42±0.50. Their retention intention is a average of 5.18±1.46.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ention intention depending on the nurses’ position(t=-2.08, p=.040), religion(t=2.67, p=.009), motivation of choosing the career(F=12.41, p<.001) and satisfaction in current working department(F=22.47, p<.001).

3. The correlation between intensive care nurses’ conflict management, resilience and their retention intention are as following: The integrating type is statistically correlated to the dispositional pattern(r=.40, p<.001), the relational pattern(r=.37, p<.001), the situational pattern(r=.48, p<.001), the philosophical pattern(r=.33, p<.001), the professional pattern (r=.52, p<.001) and the retention intention(r=.31, p<.001). The obliging type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relational pattern (r=.39, p<.001) of resilience with no meaningful difference in retention intention. The compromising type has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 dispositional pattern(r=.30, p<.001), the relational pattern(r=.44, p<.001), the situational pattern(r=.35, p<.001), the philosophical pattern(r=.27, p=.002) and the professional pattern(r=.47, p<.001) of resilience with no meaningful difference in retention intention. The avoiding type has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 situational pattern(r=-.20, p=.021) and the professional pattern(r=-.20, p=.022) of resilience with no meaningful difference in retention intention. The dominating type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dispositional pattern(r=.26, p=.003), the situational pattern(r=.31, p<.001), the philosophical pattern(r=.21, p=.018), and the professional pattern(r=.38, p<.001) of resilience, with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in retention intention(r=.21, p=.016). The total amount of resilience has a positive meaningful correlation(r=.52, p<.001) and the retention inten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the resilience patterns: the dispositional pattern(r=.41, p<.001), the relational pattern(r=.29, p=.001), the situational pattern(r=.37, p<.001), the philosophical pattern(r=.55, p<.001) and the professional pattern (r=.36, p<.001).

4.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tention intention are motivation to choose a nursing job with aptitude/interest(β=.42, p=.001), philosophical pattern of resilience(β=.37, p<.001), satisfaction of department(β=.30, p<.001), motivation to choose a nursing job with recommendation from others/high employment rate(β=.30, p=.013) and the head nurse/charge nurse in position(β=.20, p=.004). The nurses’ retention in intensive care unit is 43.5% with a high effect shown in order as: motivation to choose a nursing job considering aptitude/interest, philosophical resilience, satisfaction of department, motivation to choose a nursing job based on recommendation from others/high employment rate and a head nurse/charge nurse position.

As a result, the factor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tention intention are motivation to choose a nursing job, philosophical pattern of resilience, satisfaction of department and posi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nurses’ retention intention, it is paramount to arrange intensive care unit nurses based on their interest and vocational aptitude. Furthermore, seminars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necessary. In summary, a system establishment in the level of hospital and national organization for nursing resources management is essential.|국문 요약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갈등관리 방법, 극복력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U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 중인 경력 3개월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 130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수집 기간은 2021년 7월 1일부터 2021년 7월 31일까지 1달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Korean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Dunnett T3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갈등관리 방법은 통합형 평균 3.40±0.52점, 순응형은 평균 3.48±0.63점, 타협형은 평균 3.35±0.55점, 회피형은 평균 3.02±0.77점, 지배형은 평균 2.64±0.65점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극복력은 평균 3.59±0.38점이었으며, 하부영역별로 살펴보면 기질적 패턴 평균 3.40±0.52점, 관계적 패턴 평균 3.83±0.39점, 상황적 패턴 평균 3.64±0.40점, 철학적 패턴 평균 3.60±0.60점, 전문가적 패턴 평균 3.42±0.50점으로 나타났다. 재직 의도 정도는 평균 5.18±1.46점으로 나타났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 의도 정도는 대상자의 직위(t=-2.08, p=.040), 종교(t=2.67, p=.009), 간호직 선택 동기(F=12.41, p<.001), 부서 만족도(F=22.4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갈등관리 방법, 극복력, 재직 의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통합형 갈등관리 방법은 극복력의 기질적 패턴(r=.40, p<.001), 관계적 패턴(r=.37, p<.001), 상황적 패턴(r=.48, p<.001), 철학적 패턴(r=.33, p<.001), 전문가적 패턴(r=.52, p<.001) 및 재직 의도(r=.31,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순응형 갈등관리 방법은 극복력의 관계적 패턴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39, p<.001) 재직 의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타협형 갈등관리 방법은 극복력의 기질적 패턴(r=.30, p<.001), 관계적 패턴(r=.44, p<.001), 상황적 패턴(r=.35, p<.001), 철학적 패턴(r=.27, p=.002), 전문가적 패턴(r=.4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재직 의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회피형 갈등관리 방법은 극복력의 상황적 패턴(r=-.20, p=.021), 전문가적 패턴(r=-.20, p=.022)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재직 의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지배형 갈등관리 방법은 극복력의 기질적 패턴(r=.26, p=.003), 상황적 패턴(r=.31, p<.001), 철학적 패턴(r=.21, p=.018), 전문가적 패턴(r=.3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재직 의도(r=.21, p=.016)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극복력 총점은 재직 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재직 의도는 극복력의 기질적 패턴(r=.41, p<.001), 관계적 패턴(r=.29, p=.001), 상황적 패턴(r=.37, p<.001), 철학적 패턴(r=.55, p<.001), 전문가적 패턴(r=.36, p<.001)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재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간호직 선택 동기가 적성/흥미(β=.42, p=.001), 극복력의 철학적 패턴(β=.37, p<.001), 부서 만족도가 만족(β=.30, p<.001), 간호직 선택 동기가 주변 권유/높은 취업률(β=.30, p=.013), 직위가 수간호사/책임간호사(β=.20, p=.004)이었다. 이들 변수가 중환자실 재직 의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43.5%로 나타났으며 간호직 선택 동기(적성/흥미), 극복력의 철학적 패턴, 부서 만족도(만족), 간호직 선택 동기(주변 권유/높은 취업률), 직위(수간호사/책임간호사) 순으로 재직 의도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재직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간호직 선택 동기, 극복력의 철학적 패턴, 부서 만족도, 직위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재직 의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개별 간호사의 직업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중환자실에 배치해야 하며 간호사의 극복력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재직 의도를 높여 양질의 간호 인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국가적, 병원 조직적 차원에서의 시스템 정립이 필요하다.
Author(s)
이정은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중환자실 간호사갈등관리 방법극복력재직 의도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768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1086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EU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황영희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Nursing > 1. Theses(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