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도시 브랜딩 구축을 위한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 적용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 울산시 지역 공공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Abstract
지역 문화의 정책적 관심이 문화적 삶의 질 향상으로 확대되며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지역 공공문화공간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지역 공공문화공간은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지역 문화의 소통공간이자 관광객 유치를 위한 지역 교류 공간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역 문화가치의 인식 부족, 콘텐츠 차별성 부재, 공급자 중심의 문화정책 등으로 인해 지역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전달하지 못했고 이용자의 관심 부족으로 인한 활성화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선 지역 공공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 문화의 가치향상을 위한 도시 브랜딩 구축 방법으로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를 적용한 공간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지역 공공문화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지역 공공문화공간과 도시 브랜딩,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정립하였으며 구성요소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 공공문화공간에서 도시 브랜딩의 개념과 스페이스 브랜딩의 개념을 연결하여 관계를 정립하였다. 도출한 구성요소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국내 지역 공공문화공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도시 브랜딩 구축 방법으로서 스페이스 브랜딩의 적용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 대상은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공업 도시에서 문화산업 도시로 이미지 개선에 노력하는 울산시로 설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사례 연구 분석, 정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공공문화공간과 도시 브랜딩, 스페이스 브랜딩은 이미지와 정체성을 확립하고 활성화를 통해 가치와 경쟁력을 높이는 공통된 목적을 가졌다.
둘째, 도시 브랜딩과 스페이스 브랜딩은 대상과 매개체의 구체적인 설정과 관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도시 브랜딩은 대상을 중심으로, 스페이스 브랜딩은 매개체를 중심으로 하며 두 개념이 종합하였을 때 대상과 매개체를 서로 특정하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맺는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사례분석 결과, 지역 공공문화공간에서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 중 연상성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관계성이 미흡하게 나타났다.
넷째, 상반되는 개념을 통한 해석과 표현은 이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감성을 자극하는 방법이 되며 새로운 경험은 이용자에게 차별화된 인상을 강하게 남겨 공간의 정체성 확립을 촉진할 수 있다.

지역 공공문화공간에서 도시 브랜딩 구축을 위한 스페이스 브랜딩의 적용은 이용자에게 상징적이고 종합적인 정보 전달하며 차별성 있는 이미지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공간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용자에게는 긍정적인 인상을 주어 공간과 이용자의 관계를 활성화하게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지역 공공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 문화의 가치향상에 있어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Author(s)
김지선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Keyword
도시 브랜딩스페이스 브랜딩지역 공공문화공간공간디자인구성요소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815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0803
Alternative Author(s)
Kim, Ji-Su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김범관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Design > 1. Theses (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