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학(鶴) 문화를 응용한 작품연구
- Alternative Title
- -울산학(鶴)춤과 김언영의 '금빛 날갯짓' 연작을 중심으로-
- Abstract
- Following the traditional cultural idea of Korean academic culture,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series of gold wings of Ulsan academic dance and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symbolism of cranes was projected into our lives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lives we wanted to live in the minds of old people who shared emotional interaction with academics based on the folklore and literature of crane culture. In addition, in dealing with the direction, philosophical, and artistic reflection of the researcher's future work, we intend to find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to move forward through the study of traditional object selection and expression techniques.
Ulsan is a town of cranes. A large stream of water flows, including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The Samsan area also lived as a wetland in the past, and was also called "Hakseong" in the novel story of Gyebyeoncheon Stream in Ulsan. Studies also appeared as the object of sculptures installed in Ulsan, and academic cultural heritages were found in the literature. Based on this,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works under the theme of crane has been developed by a small number of cultural artists to this day. The researcher lived in Ulsan and did not know that Ulsan was a city of crane, but met Kim Sung-soo, the founder of Ulsan crane dance, and began to work on a folding screen of "great-grandson" considering the value of crane dance that has been passed on for four generations. They naturally became interested in cranes by examining the movements of cranes and considering whether they were expressed as "hakdance," and chose them as the subject of this paper because they were attracted to the flapping of cranes. Among the contents of Ulsan Hakchum, the researcher finds common ground in the common symbolism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leads to the process of creating it through reinterpretation. First, I would like to study in the order of identifying the first format and structural symbolism of material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t of the work, the entire structure was dismantled, specific meanings were analyzed, and a tree diagram was created by examining the situations of the morphological semantic structure. As for the materials, I would like to understand how the work was structured by understanding the types and properties of pigments on Korean paper and fibers and applying Koreanization techniques. The symbolism of color in the appearance of crane is identified by researchers and Ulsan crane dance costumes an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literatur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the structural meanings appearing in the work are centered on the researcher's sample works, but based on the stories and literature of the symbolism and meanings of color, we intend to record messages of internal and external meanings.
The analysis results value the hard work of artists working on the theme of Ulsan's crane, which has locality in Korean academic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al thought, to the present. In a situation where cranes cannot be seen in Ulsan, studying this paper has no choice but to consider cranes as objects of admiration, just like those in the past. In order to sublimate the unique academic culture of Ulsan into a work of art, it was found that it was suggested through the work presented before the degree claim. I think works that can promote the future can be expressed as metaphors by closely connecting and communicating the researcher's life, past and future, and nature and state parts.
| 본 연구는 한국의 학 문화의 전통문화 사상에 이어 울산학춤과 연구자의 금빛 날갯짓 연작을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 문화의 전통사상에 대한 설화와 문헌에 기록된 것을 토대로 학의 상징성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삶에 투영되었는지 살펴보고 학과 정서적 교감을 나누었던 옛사람들의 심상에서 어떤 삶을 살고자 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또한 연구자의 차후 작품의 방향성과, 철학·예술적 성찰을 다루는 데 있어 전통적 주제 선택과 표현기법 연구를 통해 나아갈 방향과 의의를 찾고자 한다.
울산은 학의 고을이다. 태화강국가정원을 비롯하여 큰 물줄기가 흐른다. 삼산 일대도 과거 습지로 학이 살았고, 울산의 〈계변천신〉 설화에서 학성(鶴城)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울산에 설치된 조형물의 대상으로도 학이 나타나며, 학 관련 문화유산은 문헌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을 주제로 문화예술작품의 창작과 향유는 소수의 문화예술인들에 의해 현재까지 전개되고 있다. 연구자는 울산지역에 살면서 울산이 학의 도시라는 사실을 미처 알지 못하다가 울산학춤의 창시자 김성수를 만나 4대째 이어온 학춤의 가치를 중요시해 ‘대대손손’ 병풍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들은 왜 학의 동태를 살펴 ‘학춤’으로 표현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하면서 자연스레 학에 관해 관심을 가졌고, 학의 날갯짓에 매력을 느껴 본 논문의 주제로 선택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울산학춤의 내용 중에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공통된 상징성에서 공통점을 찾고 재해석을 거쳐 창작하는 과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먼저 형식 파악과 재료연구 구조적 상징성의 순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작품의 형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전체 구조를 해체하여 구체적인 의미들을 분석하고, 형태화 의미 구조의 상황들을 살펴보는 방법으로 수형도를 작성해보는 절차를 거쳤다. 재료에 대해서는 한지와 섬유 위에 염료의 종류와 성질에 대해 파악하고 한국화 기법을 적용하여 작품이 어떻게 구조와 되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학의 외형에서 색채가 주는 상징성에 대해 연구자와 울산학춤 복식의 상징성을 파악하고 문헌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한다. 의미해석에 관련하여 작품에 등장하는 구조적 의미들은 연구자의 표본작품을 중심으로 하되 색의 상징성과 의미들을 설화와 문헌들을 바탕으로 내·외적인 의미들의 메시지를 기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한국의 학 문화와 전통문화 사상에서 지역성을 내재하고 있는 울산의 학을 대상으로 대를 이어 활동하는 예술인들의 노고에 가치를 부여한다. 더 이상 울산지역에서는 학을 볼 수 없는 상황으로 본 논문의 연구자는 옛사람들과 같이 학을 동경의 대상으로 삼아 사의하고자 한다.
이미 발표된 학위 청구전은 연구자가 울산의 고유한 학 문화를 예술작품으로 승화하고자 하는 바를 시사하고 있다. 연구자의 삶, 과거와 미래, 자연과 생태 부분이 서로 긴밀히 연대하고 소통함으로써 미래를 도모할 수 있는 작품들은 은유로써 나타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Author(s)
- 김언영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학; 울산학춤; 금빛; 김언영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81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3909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