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한 교육복지사의 경험과 인식 연구 -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한 교육복지사의 탐색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의 특징이나 경험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효용성 있는 사업 수행 과정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의 연구 문제는 ‘교육복지사가 경험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고, Strauss &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울산광역시교육청 관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초·중·고 중점학교에서 교육복지사로 10여 년 이상 근무한 7명으로 선정하였고, 전원 여성으로 30대 중후반 이상의 나이며, 이전 사회복지 또는 상담 경력이 있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3월부터 5월까지로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60분 내외로 1회기씩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접은 클로바노트를 활용해 모두 녹취되었으며 이 내용은 전사되어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의 과정을 거쳐 연구의 핵심적인 자료로 활용되었다.
개방 코딩 과정을 거쳐 나온 근거이론 연구의 결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하여 교육복지사는 총 40개의 개념을 구성했고, 개념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을 모아서 하위범주화하였다. 19개의 하위범주 등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들을 다시 묶어 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축 코딩과 선택 코딩 과정을 거치며 구성된 교육복지사의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한 심리 정서 변화 과정을 탐색단계, 직면 단계, 자각 단계, 반응행동 단계의 총 4단계로 구분 지었다. 첫 번째 탐색단계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서 교육복지사들이 ‘회의감’이라는 중심현상이 무엇 때문에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과평가 이후의 부정적 경험은 그에 대한 문제 제기를 세밀하게 탐색하였다. 이후 교육복지사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해 현실적으로 맞닥뜨리기식 직면하면서 ‘성과에 대한 부담감’, ‘성과검증에 대한 고충’을 확인한다. 이는 현실 앞에서 힘들어하며 중심현상인 ‘회의감’에 영향을 주었다.
세 번째 자각 단계는 교육복지사들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서의 변화 시도의 과정을 경험한다. 내부적으로 문제 인식이 공감되며 성과평가 내용에서의 변화가 있었고, 교육복지사는 수행과정에서 존재감 자각과 구조적 한계를 인정한다. 이에 따른 반응에 따라 행동하는 단계로 이어진다. 마지막 반응행동 단계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해 반응에 따른 행동으로 새롭게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단계별 과정 분석을 통한 재구성으로 교육복지사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해 각자도생 즉 자기들만의 실천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선택 코딩에서의 핵심을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핵심 범주는 ‘회의감을 딛고 자각을 통한 각자도생’으로 나타났다. 핵심 범주를 다른 범주와 체계적으로 연결하고 관련성을 검증해 서술적 이야기 즉 이야기 윤곽으로 구성했다.
위에서 언급한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서 나타난 회의감 구성의 내용과 과정 분석에 따른 유형들을 분석한 결과 ‘현실 저항형’, ‘현실 절충형’, ‘전문성 지향형’의 세 가지 유형화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및 성과평가 과정에 대한 교육복지사들의 경험적 탐색 활동의 실천적 해석을 제시하였다.
Author(s)
문영경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829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8438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주은수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Sociology and Social Welfar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