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신음 환자의 폐쇄수면무호흡 동반여부에 따른 임상 및 수면다원검사 특성의 차이
- Abstract
- 수면신음(Catathrenia)은 수면 중 깊은 흡기 이후, 호기에 동반하는, 신음(groaning) 소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현재까지 문헌에 보고된 것이 100건 이하일 정도로 그 빈도가 매우 낮다. 아직 수면신음의 특성 및 병태 생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병인과 분류에 대해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수면신음에 대한 치료는 아직 불명확한데, 그 중 지속기도양압(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치료의 경우 그 반응이 좋은 환자도 있는 반면 좋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저자는 수면신음 환자를 폐쇄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 동반 여부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수면다원검사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여, 수면신음이라는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아산병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수면신음이 확인된 환자를 대상으로한 후향적 연구이다. 해당 환자를 OSA동반 여부로 OSA(+)군, OSA(-)군 두 개의 환자군으로 나누어 각 군과 전체에 대하여 인구학적 및 임상적 인자 및 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한 수면 지표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에는 Student’s t-test, chi-squared test, Mann-Whitney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Spearman의 순위상관분석을 변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였다.
전체 수면신음 환자를 OSA 동반 여부에 따라 비교했을 때, 수면다원검사 결과에서 OSA (+)군에서 OSA (-)군에 비해 각성지수는 더 높고, N1 수면시간은 더 긴 반면, N3 수면시간 은 더 짧은 것으로 관찰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OSA가 동반된 경우에 각성이 더욱 자주 일어나 발생한 차이로 생각된다. 한편, OSA (+)군과 OSA (-)군 사이의 환자 당 수면신음사건의 평균 횟수와 지속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면신음기간의 횟수는 OSA (+)군에서 더 많고, 수면신음기간의 지속시간은 OSA (+)군에서 더 짧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 수면다원검사에서도 OSA (+)군에서는 수면무호흡에 1-2개의 수면신음사건이 따라오는 패턴이 주로 관찰된 반면, OSA (-)군에서는 2-3개 이상의 수면신음사건이 무리지어 나타나는 패턴으로 이질적인 양상이 관찰되었다.
전체 수면신음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신음지수와 인구학적 인자 및 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된 수면 지표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을 때 대부분의 지표에서 선형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N1 수면시간과는 양의 상관관계, 수면잠복기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수면단계 및 수면자세에 따른 수면신음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했을 때에는 렘(rapid eye movement, REM) 수면에서 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수면자세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는데, 동일한 환자들을 대상으로AHI와 수면단계, 수면자세와의 유의성을 분석했을 때 OSA가 동반된 군에서만 수면 자세와 상관관계를 보인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OSA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렘수면에서 수면신음지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수면신음이라는 질환의 전체적인 특징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OSA 동반 여부에 따라 수면 무호흡에 1-2개의 수면신음사건이 따라오는 패턴과 2-3개 이상의 수면신음사건이 무리지어 나타나는 패턴의 이질적인 양상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수면신음이라는 질환은 단일한 병태생리를 보이는 질환이라기 보다, 이질적인 성격의 질환군의 집합체일 가능성이 있다.
- Author(s)
- 박관영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08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97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8405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