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뇌하수체 선종에 대한 내시경 경접형동 수술 후 발생하는 심한 두통의 원인 분석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Introduction
Mostly, postoperative headache has been relieved after endoscopic endonasal transsphenoidal approach (ETSA) for pituitary adenoma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with severe postoperative headache after ETS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factors of postoperative severe headache after ETSA for increasing patient’s satisfactio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after the operation.
Methods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72 patients (mean age 51 years, male;74, 43%) underwent ETSA, primarily for pituitary adenoma in single institution, between March 2016 to December 2020. Of them, 35 patients (20%) had headache at the time of diagnosis. About half of them (88 patients, 51%) had complaint of severe postoperative headache; over the NRS 5 points. Most severe headaches occurred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also reported on the second and third days after surgery. We compared demographic, laboratory, imaging and operation factors in the postoperative headache group which defined as complaining of postoperative headache above NRS 5 points with control group.
Results
Most of them had been diagnosed as 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 (n = 136, 7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obesity (BMI > 25 kg/m2), hypertension, initial symptoms. In univariate analysis, younger age under 45 years, increased postoperative sodium level variation, greater tumor size, and larger variation of pre- and post-operative tumor capsule level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severe postoperative headache. (p= 0.02, p < 0.01, p = 0.01, p = 0.01, respectively) Also, increased preoperative WBC count, postoperative C-reactive protein (CRP) level and usage of artificial grafts for sellar reconstruc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stoperative headache. (p =0.03, p <0.01, p= 0.02, respectively). In multivariate study, younger age, increased postoperative CRP level, greater tumor size and larger variation of pre- and post-operative tumor capsule level have significant impact for postoperative headach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SF leakage, cavernous sinus invasion, postoperative cerebral hemorrhage and other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headache.
Conclusion
There was lack of study about postoperative headache in pituitary adenoma, treated by ETSA. In this study, younger age, structural factors including larger tumor size and bigger variation of pre- and post-operative tumor capsule level, and inflammatory factors including increased preoperative WBC counts, postoperative CRP level, and the usage of artificial graft for sellar reconstruction are significantly correlate to postoperative severe headache. To relieve postoperative headache, use of NSAIDs before and after surgery and less use of artificial graft for sellar reconstruction should be considered.
|뇌하수체 선종에 대한 내시경적 경접형동 제거 수술 이후, 대다수의 두통은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생각보다 많은 환자들이 수술 후 두통을 심하게 호소하여, 이에 대해 내시경적 경접형동 뇌하수체 종양 제거술 후 심한 두통을 일으키는 원인 인자를 분석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원인인자를 밝혀내어 이를 교정함으로써 수술 경과를 호전시키고, 수술 후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원에서 2016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뇌하수체 선종에 대해 내시경적 경접형동 수술을 시행한 총 172명의 환자를의 후향적 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51세, 남성이 74명, 43%였으며, 이중 35명(20%)의 환자가 진단 당시 두통을 호소하였다. 또 51%의 환자들이 수술 후 NRS 5점 이상의 심한 두통을 호소하였고, 이 환자 군을 수술 후 두통 그룹으로 정의하여 인구통계학적, 혈액 검사 및 영상 검사, 수술 소견 등의 요인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비만도, 고혈압 및 진단 당시 증상은 수술 후 두통과 연관이 없었다. 일변량 분석에서 45세 미만의 젊은 나이, 수술 후 혈청 나트륨 수치의 큰 변동, 종양 크기 및 수술 전후 종양의 위상 변화가 클수록 수술 후 심한 두통과 유의하게 연관있었다. (p= 0.02, p <0.01, p = 0.01, p = 0.01) 또 수술 전 백혈구 수치 증가 및 수술 후 증가된 CRP 수치, 수술 중 터키안장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물질을 사용한 경우 수술 후 심한 두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3, p <0.01, p= 0.02) 반면 수술 중 뇌척수액 누출 혹은 수술 후 뇌출혈을 포함한 합병증 여부 또 해면동 침범 여부는 수술 후 두통과 연관성이 없었다.
뇌하수체 선종에 대해 내시경적 경접형동 수술 이후의 두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술 후 두통과 연관 있는 인자로 젊은 나이, 큰 종양 크기 및 수술 전후 종양의 위상변화, 증가된 수술 전 백혈구 수치 및 수술 후 CRP 증가소견, 그리고 수술 중 인공물질 사용 여부가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수술 후 두통을 완화를 위해 수술 전후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사용하거나, 수술 중 인공물질 사용의 지양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Author(s)
문은지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Keyword
뇌하수체선종내시경적 경접형동 수술수술 후 두통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988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4150
Alternative Author(s)
Moon, Eun Ji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김영훈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