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가트맨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반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nfants and Toddlers ‘Parental Sexuality Education Program’ : Based on Gottman's of Emotion Coaching Theory
Abstract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가트맨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반으로 아동가정복지학 전공 손 인 옥 지 도 교 수 정 민 자 본 연구는 가트맨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반으로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부모가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으로 행복하고 건강한 성생활을 하며, 성과 관련된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 어짐으로써 자녀의 긍정적인 성 가치관 형성과 성 문제 해결 및 대응 방안에 기여 하고자 한다. 연구는 2024년 3월 4일~4월 25일까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첫째, ADDIE 모형의 단계를 적용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개발절차에 따라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을 실 시한 후 효과 검증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첫 번째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학습자 요구도 분석을 위해 보육 관 련 전문가 3인, 부모 6인, 성교육 전문가 1인과 면담하고, 영유아 부모 214명을 대 상으로 요구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습과제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학습자와 학습 환경을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는 ‘나 점검하기’를 통해 부 모가 먼저 자신을 점검하고 이해하여 스스로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 영유 아 부모가 영유아 자녀의 성적 행동이나 성적 질문에 당황하지 않고 편안한 표정과 마음으로 자녀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것, 감정코칭 대화법을 체득하여 자녀가 건 강하게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대화의 내용과 방식의 기초를 구축하는 것으로 설정하 였다. 그리고 학습 운영방법은 전달식 강의는 최소화하고 워크숍으로 진행하여 학 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스캐폴딩 방식을 적용하여 단계적으로 체득하고, 스스로 통찰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8명의 전문가 타당도를 확인 후 수 정, 보완하여 최종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두 번째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참여자는 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2명, 총 44명 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4년 3월 25일~4월 15일까지이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4회기 10차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 해 정서 지능, 가족 성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회기 별 소감과 만족도, 경험보고서, 참여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양적 검증은 수집된 사전-사후 검사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첫째, 프로그램 처치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간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동질 집단임 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 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정서 지능의 사전 점수 평균은 3.50(SD=.74), 사후 점수 평균은 3.71(SD=.71) t=-3.64(**p<.01)로 교육 후 정서 지 능이 향상되었다. 의사소통의 사전 점수 평균은 3.62(SD=.55), 사후 점수 평균은 3.89(SD=.48)로 t=-5.09(***p<.001)로 교육 후 의사소통이 향상되었다. 부모효능감의 사전 점수 평균은 3.56(SD=.90), 사후 점수 평균은 4.19(SD=.69)로t=-5.17(***p<.001)으로 교육 후 부모효능감이 증가하였다. 통제집단의 정서 지능의 사전 점수 평균은 3.65(SD=.54), 사후 점수 평균은 3.69(SD=.53)로 t= -.48로, 의사소통의 사전 점수 평균은 3.46(SD=.53), 사후 점수 평균은 3.55(SD=.53)로 t=-1.87로, 부모효능감의 사 전 점수 평균은 3.71(SD=.55), 사후 점수 평균은 3.65(SD=.55)로 t=-.66로 사전-사후 검사 점수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은 정서 지 능, 가족 성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프로그램 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정서 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아서 동질 집단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과 부모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 여 다른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이 가족 성관련 의사 소통에 대한 인식과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질적 검증은 수집된 자료 중 만족도는 5점 만점으로 자기 보고식 점수를 평균분석 하였으며, 프로그램 경험보고서는 반복 읽기를 통해 분석, 회기별 소감과 참여자 인 터뷰는 NViv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 만족도는 4.93점, 강사만족 도 4.96점, 프로그램 도움 정도는 4.93점이었다. 전문가 참여자의 평가 점수는 모두 5점이었다. 경험보고서, 회기별 소감, 참여자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첫째, 나 자신, 대화방식, 자녀를 대하는 태도, 성을 바라보는 태도를 돌아보며 긍정적인 변화를 경 험하였고, 또한 삶의 전반적인 통찰이 있었다. 둘째, 영유아 성의 이해와 자녀의 성 적 행동이나 질문에 당황하지 않고 대화할 수 있겠다는 용기가 생겼다. 특히 감정 코칭 대화법으로 가정에서 배우자, 자녀와 관계개선을 경험하였고, 자녀 양육에 도 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영유아 부모에게 양육과 삶의 전반적 인 도움을 주며, 영유아의 성적 질문이나 성적 행동에 당황하지 않고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기초 자료로 유사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위와 같이 가트맨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반으로 한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은 정서 지능, 가족 성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또한 영유아 부모가 먼저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으로 행복하고 건강 한 성생활을 하며, 성과 관련된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으로써 자녀의 긍정적 인 성 가치관 형성과 성문제 해결 및 대응방안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 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 교육기관과 성 관련 및 유관기관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주제어 : 영유아, 부모성교육 프로그램, 가트맨의 감정코칭, 부모효능감
Author(s)
손인옥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8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유아부모성교육 프로그램가트맨의 감정코칭부모효능감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206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810912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Advisor
정민자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Child family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