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한 구내염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Alternative Title
-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emotherapy-Induced Mucositis
- Abstract
- [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한 구내염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의 구내염 예방, 조기 발견, 치료, 재발 방지를 위해 기존 가이드라인을 수용 개작하는 과정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 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한 구내염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의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1단계로는 혈액종양내과 의사 2명과 혈액종양내과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10명을 포함한 총 12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구내염에 대한 핵심 요인을 도출하였고, 2단계로 기존 가이드라인을 검색하고 선별하였다. 3단계는 선별된 가이드라인의 질 평가 및 최신성을 평가하고, 4단계는 핵심 요인을 기반으로 최종 선정된 가이드라인의 권고안을 선택하고 최신 근거를 반영하였다. 5단계는 가이드라인 초안을 개발하고, 6단계는 동일한 전문가 집단에게 RAND corporation의 9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을 통하여 초안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7단계는 가이드라인 확정 단계로 전문가 집단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가이드라인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한 구내염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통하여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한 구내염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 요인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혈액종양내과 의사 2명, 혈액종양내과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10명, 총 12명으로 구성되었다. 도출된 핵심 요인은 구강 사정, 구강 함수제 사용, 칫솔질, 의치 관리, 영양 공급, 통증 관리, 환자 교육 등 구내염의 예방, 조기 발견, 치료, 재발 방지를 위하여 의료진이 주의하고 반드시 지켜야 하는 항목을 포함하였다.
2. 기존 항암화학요법 관련 구내염 가이드라인을 검색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주요 데이터베이스 및 가이드라인 관련 사이트를 이용하였고, 총 검색된 45개의 가이드라인 중 7개를 1차로 선택하였다. 1차 선택한 가이드라인은 K-AGREE II를 사용한 질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4개의 가이드라인을 선정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설문에서 도출된 핵심 요인을 기반으로 선정된 가이드라인의 권고안을 선택하고, 추가적인 문헌고찰과 질 평가를 통해 최신 근거를 반영하였다.
3. 최종 핵심 요인과 선정한 가이드라인의 권고안, 최신 근거를 반영하여 가이드라인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한 구내염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초안은 구강 사정 4문항, 다학제적 구강 관리 7문항, 양치질과 의치 관리 14문항, 환자 교육 7문항, 구강 함수제 외 11문항, 구강 냉요법 1문항, 저수준 레이저 치료 1문항, 구내염 관련 통증 4문항, 구내염 부위의 출혈 2문항, 구강 건조 5문항, 간호사 교육 및 간호 기록 2문항으로 총 11개 영역, 58개 권고안으로 구성되었다.
4. 동일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RAND corporation의 9점 척도를 이용하여 가이드라인 초안의 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권고안의 평가 결과 각 항목의 평균은 9점 만점에 적절성 8.00점, 적용 가능성 7.79점, 효과성 7.89점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지만, 적절성에 비해 효과성이 다소 낮고, 적용 가능성은 더 낮게 나타났다. 권고안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적절성의 경우는 'VII. 저수준 레이저 치료'로 7.08점, 적용 가능성의 경우에도 'VII. 저수준 레이저 치료'로 6.50점, 효과성의 경우 'V. 구강 함수액 외 - V-6. 그 외'와 'VII. 저수준 레이저 치료'가 7.25점으로 같게 나타났다.
5.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가이드라인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를 간호하면서 구내염과 관련된 근거기반 지식 습득 및 임상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간호사와 의료진을 위하여 최신 근거에 기반된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한 구내염에 대한 간호중재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근거기반 간호중재 가이드라인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높아진다면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 및 삶의 질을 증진시키며, 간호사와 의료진이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구내염을 관리하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근거기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며, 5년 이내 가이드라인을 갱신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emotherapy-Induced Mucositis ]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by adopting and adapting existing guidelines to prevent, detect early, treat, and prevent the recurrence of oral mucositis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The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In the first stag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group of 12 experts, including 2 hematology-oncology physicians and 10 nurse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in hematology-oncology, to identify key factors related to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In the second stage, existing guidelines were searched and selected. The third stage involved evaluating the quality and currency of the selected guidelines. In the fourth stage, recommendations from the final selected guidelines were chosen based on the key factors and updated with the latest evidence. The fifth stage involved drafting the guidelines, and the sixth stage involved validating the draft using a survey with the same expert group, utilizing the RAND Corporation’s 9-point scale. In the seventh stage, the draft was revised and finalized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e expert group. Through these steps,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ing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were develop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The key factors for managing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were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an expert group. The group consisted of 12 members, including 2 hematology-oncology physicians and 10 nurse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in hematology-oncology. The identified key factors included oral assessment, the use of oral moisturizers, brushing, denture care, nutrition supply, pain management, and patient education. These factors encompass the items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must pay attention to and strictly adhere to for the prevention, early detection, treatment, and recurrence prevention of mucositis.
2. To search for existing guidelines on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and guideline-related sites were utilized. Out of 45 guidelines initially found, 7 were selected for the first round. These initially selected guidelines were evaluated for quality using the K-AGREE II tool, and 4 guidelines were ultimately chosen. Based on the key factors identified from the expert group's survey, recommendations from the selected guidelines were chosen, and additional literature reviews and quality 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incorporate the latest evidence.
3. The draft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was created by incorporating the final key factors, recommendations from the selected guidelines, and the latest evidence. The draft of these guidelines consists of a total of 11 sections and 58 recommendations, including 4 items on oral assessment, 7 items on multidisciplinary oral care, 14 items on brushing and denture care, 7 items on patient education, 11 items on oral moisturizers, 1 item on oral cryotherapy, 1 item on low-level laser therapy, 4 items on mucositis-related pain, 2 items on mucositis-related bleeding, 5 items on oral dryness, and 2 items on nurse education and nursing records.
4. The validity of the draft guidelines was verified using the RAND Corporation's 9-point scale with the same expert group.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recommendation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for each item were 8.00 for appropriateness, 7.79 for applicability, and 7.89 for effectiveness, indicating generally high scores. However, the effectiveness score was slightly lower than the appropriateness score, and the applicability score was even lower. The item with the lowest score for appropriateness was "VII. Low-Level Laser Therapy" with a score of 7.08. The lowest score for applicability was also for "VII. Low-Level Laser Therapy," which received 6.50 points. For effectiveness, both "V. Other Oral Moisturizers V-6. Others" and "VII. Low-Level – Laser Therapy" received the lowest score of 7.25.
5. The final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was complet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draft guideline through validation by a panel of exper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 for managing chemotherapy-induced mucositis based on the latest evidence. This guideline aims to assist nurse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face difficulties in acquiring evidence-based knowledge and applying it clinically while caring fo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If the accessibility and utility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improved, it is expected to enhance patient safety, treatment effectiveness, and quality of life.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nurse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managing mucositis according to standardized procedures and enhancing work efficienc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continuously apply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verify its effects, and propose subsequent research for guideline renewal in five years.
- Author(s)
- 류하은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구내염; 항암화학요법; 간호; 간호실무; 근거; 근거기반; 가이드라인; 프로토콜; 개발; 수용개작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275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806785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