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긍정 문자메시지 제공이 신규간호사의 긍정적 정서, 소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providing positive text messages on positive emotion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Abstract
This experimental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led pre-post 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 of positive text messages on positive emotion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ew nurses at a tertiary hospital in U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9, 2024, on new nurses working at a high-level general hospital in U Metropolitan City.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66, with 33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the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ir weekly schedules and using the text message scheduling feature,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2 positive text messages once per day, three days per week, and every other day for four weeks, starting on Mondays. Meanwhil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ho wished to receive similar positive text messages as those received by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xted after the study end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text messages, positive emotion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ssessed using th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re-survey and two post-surveys us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8 program (IBM Co.).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hile a t-test, χ2 test, Mann-Whitney U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 and post-experiment positive emotion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response to positive text messages. Bonferroni's method was used for post-hoc tests, and the Greenhouse-Geisser test was used for analysis as the assumption of sphericity was not m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ime points (F=11.09, p<.001),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7.01, p=.010) after the intervention(F=3.11, p=.054) in the degree of change over time (F=11.09,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positive text messages has higher positive emot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F=5.63, p=.021) and between time points (F=3.81, p=.030) in the degree of change over time (F=6.58, p=.00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positive text messages has lower burnout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ime points (F=1.11, p=.3.28),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F=6.56, p=.013) in the degree of change over time (F=5.30, p=.008)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positive text messages has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findings showed that positive text messages effectively improved positive emo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duced burnout among new nurses.
Therefore, the positive text messages u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icient workforce management by promoting the emotional stability of new nurses and reducing turnover intentions through a continuous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본 연구는 U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긍정 문자메시지 제공이 긍정적 정서, 소진,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실험연구이다. 연구는 2024년 1월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U광역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상자 수는 총 66명이었으나,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을 시행한 수는 실험군 33명, 대조군 33명이었다. 실험군은 문자메시지 예약기능을 이용하여 월요일부터 근무 형태에 맞추어 하루에 1번, 주 3일, 4주 동안 격일로 총 12회차의 긍정 문자메시 지를 예약 발송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연구 종료 후 본인이 원할 시 실험군과 동일 내용의 긍정 문자메시지를 제공하였다.
긍정 문자메시지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긍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ale: PANAS), 소진은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 (MBI) 한국어 버전, 조직몰입은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OCQ)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료수집은 사전조사, 2회의 사후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8 program(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t-test, X2-test, Mann-Whitney U test, Fisher’s exact test 로 분석하였다. 긍정 문자메시지 발송에 따른 실험군, 대조군의 실험 전, 후 긍정적 정서, 소진, 조직몰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후검정을 위해 Bonferroni’s method를 이용하였으며, 구형성 가정이 만족되지 않아 Greenhouse-Geisser 검증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긍정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긍정적 정서 점수가 증가할 것이 다.’는 중재 제공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F=7.01, p=.010)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측정 시점 간(F=3.11, p=.054)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집단 간의 시간에 따른 정도 (F=11.09,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제 2가설 ‘긍정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소진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중재 제공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F=5.63, p=.02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측정 시점 간(F=3.81, p=.030), 두 집단 간의 시간에 따른 정도(F=6.58, p=.003)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제 3가설 ‘긍정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조직몰입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는 중재 제공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F=6.56, p=.013)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측정 시점 간(F=1.11, p=.3.28)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집단 간의 시간에 따른 정도 (F=5.30, p=.008)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 긍정 문자메시지는 신규간호사의 긍정적 정서, 소진, 조직몰입에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긍정 문자메시지를 활용한다면 신규간호사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지속적으로 조직적인 지지체계를 통해 이직의도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인력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uthor(s)
이다은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8
Type
Dissertation
Keyword
긍정 문자메시지긍정적 정서소진조직몰입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276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811473
Alternative Author(s)
LEE DAEU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김민영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Nursing > 1. Theses(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