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한 질적 연구 -2000년~2019년 중심으로-
- Abstract
-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f Sexuality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 Focused on 2000~2019 -
Park, Hye-sook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upervisor: Prof. Jung, Min-ja
This study began as there was a need raised for checking the culture and psychology of sexuality throughout Korean society, as it experiences a new controversy surrounding sex.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in the 2000s.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would emphasize that the individual’s healthy sexuality would be important in creating a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ce again.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bring into relief the necessity of social purification of sex culture so that sex can be harmonized in human life beautifully and healthily. Moreover,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eline material of the education for establishing adolescents’ upright values of sexuality and forming the psychology of sex for the acquisition of gender sensitivit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exuality represented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using qualitative analysis tool, NVivo R1. As for subjects, 600 songs ranked top 30 each year for 20 years from 2000 through 2019 were selected from the chart by period provided on Melon, an online music streaming web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behavior, for sexual fantasy and desire, in the expressions of fantasy, there were expressions of fluttering feelings softly and emotionally alluded to things while in the expressions of desire, there were active expressions of desire to achieve by revealing one’s desire naturally even in a short meeting achieved instantly. In the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as narrators express their desires carefully, passively, and indirectly while those sung by male singers as narrators express active and direct sexual behaviors.
Second, of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behavior, in temptation and pleasure-orientation, raunchy and blatant expressions of sex and the body were revealed. The songs expressed the ecstatic feeling given by sexual pleasure by objectifying the body, indulged in pleasure and made bold expressions of making the listeners naturally imagine sexual intercourse. The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as narrators objectified their bodies and expressed their attractiveness actively. The attractive body acted as competitiveness in achieving their desire in the expressions. The songs sung by male singers as narrators played with sexual language, expressed temptation like throwing a joke or objectified the female body, which made the listeners imagine sexual expressions. Because of the process of showing sexual behaviors plainly, they consisted of expressions that indirect stimulated them or made them feel vicarious gratification.
Third,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behavior, affair expressed the emotions of coping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partner was interested in the other opposite sex despite they were dating a person or caught for the fact of double dating. In the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as narrators, there were expressions of mixed feelings about the partner’s affair, but most were firm expressions in which they would never forgive that. On the other hand, in the songs sung by male singers as narrators, there were expressions of sad feeling painful and hurt by the partner’s affair or a passive attitude in which they could not boldly end the relationship 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affair.
Fourth,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ttitude, for sex role stereotype, there were expressions of asking men for responsibility and sense of mission, not to cry because they were men, not to express their difficulties, and to sacrifice for the family, instea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contents of asking women to accept the saying that the late marriage is disadvantageous to women, to accept the customs of the social marriage system and the double standard to ask them to allow man’s affair but not woman’s and only to commit themselves to him and discriminatory expressions in which women should be passive and halfhearted in love and sexual expressions to be sweet-tempered women.
As for the contents that deal with a crack in the gender binary, there were expressions of the expressions of their attractiveness provocatively and confidently with sexual appetite and the active exercise of sexual subjectivity.
Fifth,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ttitudes, for devotion to th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nefit for each partner must be enough to make the continuation of the relationship worthy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 partners. And yet, there were expressions of unequal relationships in which they devoted themselves, wishing the maintenance of the relationship, but the value between the partners does not make a balance but break, so they is not guaranteed with the partner’s devotion. Toward the late-2000s, in the expressions of intimacy, there were more contents of expressing temptation and sexual pleasure than those of devotion to the relationship.
Sixth, to examine changes in sexuality by period from 2000 through 2019, in the expressions of sexual behaviors and sexual attitudes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starting 2010, the lyrics expressing sexual behaviors outnumbered those expressing sexual attitudes much. It is inferred that this phenomenon acts much more strongly that it goes beyond the existing sexual norms, in the formation of sexuality achieved centering around sexual behaviors. As for the causes for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fantasy, desire, and pleasure-orientation in the expressions of sexual behaviors from the mid-2000s to the late-2000s, the strengthening of the function of pleasure of sex in the expressions of lo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ex, and the femininity functioning as a sexual subject entering post-modern era.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exuality in a person are affected by personal growth and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s. Especially, in adolescents’ digital environment utilizing sound sources, popular songs have powerful influenc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udies of sexualit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ecological systems of parents, school and friends affecting sexual behaviors and sexual attitudes.
Key Words: Sexuality, Sexual behavior, Sexual attitude, Popular song, NVivo R1
|국 문 초 록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한 질적 연구
-2000년~2019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성(性)을 둘러싼 새로운 논쟁을 맞이하면서 한국 사회 전체의 성문화와 성 심리를 점검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 대중가요 가사 속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인의 건강한 섹슈얼리티가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있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성이 인간생활에서 아름답고 건강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성문화의 사회적 정화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나아가 청소년의 올바른 성 가치관의 확립과 성인지 감수성의 습득을 위한 전성(全性) 형성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분석 도구인 NVivo R1을 이용하여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음원사이트 멜론에서 제공하는 시대별 차트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의 매해 인기순의 30위에 해당하는 600곡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 행동의 특성에서 성적 환상 및 욕망은 환상에 대한 표현에서는 설레는 감정들을 부드럽게 감성적으로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지만, 욕망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진 짧은 만남에서도 자신의 욕구를 자연스레 드러내며 성취하려는 적극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여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조심스럽게 수동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우회하여 표현하지만, 남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적극적이며 직접적인 성행동을 표현하고 있다.
둘째, 성 행동의 특성 중 유혹과 쾌락 지향에서는 성과 육체에 대한 선정적이고 노골적인 표현이 그대로 드러났다. 성적 쾌락이 주는 황홀한 감정을 몸을 대상화하여 표현하고 쾌락을 탐닉하고 자연스레 성행위까지 상상하게 만드는 과감한 표현들이 나타났다. 여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스스로 자기 몸을 대상화하여 자신의 매력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자신의 욕구를 쟁취하는데 매력적인 몸이 경쟁력으로 작용하여 표현되었다. 남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성적인 언어를 유희화하여 상대에게 농담 던지는 듯한 말투로 유혹의 표현을 하거나 여성의 몸을 대상화하여 성적 표현을 상상하게 만들고, 성적 행동의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표현들로 인해 간접 자극을 주거나 대리만족을 느끼게 하는 표현들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성 행동의 특성에서 외도는 현재 사귀고 있는 연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성에게 관심을 두거나 실제로 이중적 교제가 진행되고 있는 사실이 상대방에게 발각이 된 상황에서 이에 대처하는 감정을 표현하였다. 여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상대의 외도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표현하지만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표현의 곡이 많았다. 반면 남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상대의 외도에 대한 상처 받은 마음을 고통스럽게 아파하는 슬픈 감정을 표현하거나 외도를 알고 있으면서도 과감히 관계를 정리하지 못하는 수동적인 태도가 나타났다.
넷째, 성 태도의 특성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은 남성에게는 남자이기 때문에 울어서 안 되고, 힘든 것을 내색하지도 말고 오히려 그럴수록 남은 가족들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는 책임감과 사명감을 요구하는 표현이 나타났다. 반면에, 여성에게는 늦은 나이의 결혼은 여성에게 불리하다는 사회적 결혼제도의 관습과 남성의 외도는 수용하고 여성의 외도는 용납할 수 없으며 자신에게만 헌신하라는 성 이중기준의 잣대를 요구하는 내용과 여성은 사랑과 성적 표현에 수동적이고 소극적이어야 참한 여성이라는 차별적 표현이 나타났다.
젠더 이분법의 균열을 다루는 내용으로는 성적 욕망을 가지고 자신의 매력을 도발적이고 당당하게 표현하고 적극적 성적 주체성을 행사하는 내용의 표현들이 나타났다.
다섯째, 성 태도의 특성에서 관계의 헌신은 파트너 각자가 관계에서 얻는 혜택이 관계의 지속을 가치 있게 만들 만큼 충분히 커야 당사자 모두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관계가 유지되기를 바라고 헌신했으나 당사자 간의 가치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깨어져 상대의 헌신을 보장받지 못하는 불평등한 관계가 표현되었다.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친밀감의 표현에 있어 관계의 헌신보다는 유혹과 성적 쾌락을 표현하는 내용이 많이 나타났다.
여섯째, 2000년~2019년 시대별 섹슈얼리티의 변화를 살펴보면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성 행동과 성 태도의 표현에서 2010년을 기점으로 하여 성 행동의 표현을 나타내는 가사가 성 태도를 표현한 가사보다 훨씬 더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성행동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섹슈얼리티가 성적 친밀성을 이루는데 기존의 성적 규범을 넘어설 만큼 훨씬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성행동의 표현에 있어 성적 환상 및 욕망, 쾌락 지향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는 변화의 요인에는 사랑의 표현에 있어서 성의 쾌락적 기능의 강화와 탈근대로 접어들면서 성에 대한 인식변화, 성적 주체로서 기능하는 여성성이 원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 인간의 섹슈얼리티 형성과 발달은 개인의 성장과 가족 및 사회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음원을 활용하는 청소년의 디지털환경에서 대중가요의 영향력은 강력하다. 이에 성 행동과 성 태도에 영향을 주는 부모나 학교, 친구의 생태체계를 고려한 섹슈얼리티 연구는 추후 계속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주제어: 섹슈얼리티, 성 행동, 성 태도, 대중가요, NVivo R1
- Author(s)
- 박혜숙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섹슈얼리티; 성 행동; 성 태도; 대중가요; NVivo R1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732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3633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