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근로자의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이 과업성과 및 맥락성과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절차적 공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bstract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public organization employee’s perception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in these relationships. Thus, hypotheses were set up to check whether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ffect personal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as well as the effects of stress held by members in relation to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individual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procedural justi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a total of 23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ness of the perception of the work system have a positive impact on individual performance. Second, the highness of the perception of the work system have a negative effect on stress. Third, stress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individual performance. Fourth, procedural justice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recognition and employee stress. Fifth, in groups with high procedural justic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ave increased the effect on stress, but which is not significant in groups with low justic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impacts o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Second, the stress of a member is down by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Third, the individual performance strengthened by the effect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 In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organizations that want to achieve high performance must adopt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ir members. A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impact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individual performance, procedural justice should be ensured. |본 연구는 조직이 도입한 고성과 작업시스템을 인식하는 근로자의 과업 및 맥락성과와 이러한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절차적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이 개인성과를 향상시키고,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과 개인성과의 관계에서 구성원이 지니고 있는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절차적 공정성 이들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A 공공기관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47부를 회수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35부의 표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은 개인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 구성원의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은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트레스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개인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다. 넷째, 절차적 공정성은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과 종업원의 스트레스 간의 부(-)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다섯째, 절차적 공정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이 스트레스를 낮추는 영향을 높였지만, 절차적 공정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으로는 첫째,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이 조직 구성원 개인의 과업성과, 맥락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점이다. 둘째,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이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조직의 성과 하락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셋째, 고성과 작업시스템 인식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기 위해 절차적 공정성 인식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첫째, 조직이 구성원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 도입의 당위성을 제시해주었다. 둘째,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제대로 작용하기 위해서 구성원의 조직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Author(s)
- 공영광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고성과 작업시스템; 과업성과; 맥락성과; 스트레스; 절차적 공정성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50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8474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