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Abstract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1-2.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82명이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Enoch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일반적인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수정한 신혜영(2004)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Klohnen(1996)이 CPI(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에서 자아탄력성과 관련된 문항을 선별하여 29개의 항목으로 추려 자기보고식 자아탄력성 척도로 개발하고 타당화한 것을 박옥숙(2011)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하여 이명록(2016)이 보육교사에게 적합한 문장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통계 분석을 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개인변인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과 F검증(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전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s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통해 Bootstrapping 절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변인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는 20대 보다 40대가, 미혼 보다는 기혼이, 경력이 1년 미만 보다는 7년 이상이, 월 평균 급여(실수령액)는 100~150만 원 미만과 200~250만 원 미만인 보육교사 보다는 250만 원 이상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차이는 미혼 보다는 기혼이, 어린이집의 유형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보다는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차이는 민간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가 직장어린이집이나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전체와 자아탄력성 전체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효능감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효율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의 또 다른 하위요인인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자아탄력성의 자신감, 대인관계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전체와 이직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이직의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전체와 이직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대인관계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은 이직의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자아탄력성에, 자아탄력성은 이직의도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은 이직의도에 직접효과는 미치지 않지만 자아탄력성을 통해 이직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업적 특성이 고려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이직의도를 낮춤으로써 보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Author(s)
- 박묘정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자아탄력성; 이직의도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739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1017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