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진성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과 지식공유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4차 산업혁명 사회로 급격히 전환되는 추세 속에서 기업을 둘러싼 환경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러한 변화무쌍한 경영환경은 기업으로 하여금 조직행동분야의 많은 부분에 있어 새로운 변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이 조직의 발전을 위해 최선의 행동을 다하도록 만드는 효과적인 리더십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많은 기업에서는 90년대 이후 성장의 중심축을 담당했던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있고 80년대 이후 출생한 MZ세대들이 이들을 대체하면서 업무의 중심계층으로 급부상해 가고 있으며, 기업으로서는 이러한 기성세대와 MZ세대 간의 차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조직문화를 창출해 지식기반의 산업혁명 속에 경영성과 달성 등 조직운영의 유효성을 높여야 할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런 가운데 지금의 기업들에게 있어서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리더와 구성원 간 그리고 동료 간의 태도와 행동에 있어 ‘소통’, ‘공정’ 및 ‘진정성’을 뽑을 수가 있다. 따라서, 그 어느 때 보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고 적합한 리더십이 진성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뉴 노멀 시대에 제조업체에서 혁신은 경쟁력을 확보하여 지속가능기업으로 생존해 가기 위한 필수이다. 해서, 회사의 모든 조직구성원의 혁신을 위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이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에 중요하다는 것이 핵심적 키워드로 부상되고 있으므로 국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진성리더십의 연구에 있어 혁신행동에 미치는 메카니즘 및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로 판단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들에서 진성리더십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지만 정교한 작동기제를 보강해야 할 필요성에 주목하였고 특히, 선행연구에서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에 주요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식공유와 심리적 안전감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하나의 매개구조에 통합하여 심리적 안전감이 지식공유로의 순차적인 매개효과, 즉 직렬다중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사례는 처음이다.
금번 연구는 리더의 진성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있어 심리적 안전감 및 지식공유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학술지, 학위논문 등의 문헌을 통해 금번 연구에서 다루고자는 하는 변수들의 정의, 구성요소 및 상호 관계 등과 관련한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실증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된 설문문항들을 토대로 측정도구를 구성하였으며, 설문대상은 울산지역 설비집약적인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중견 및 대기업 규모 기업체의 생산현장에서 근무하는 조직구성원들로 이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아울러, 수집된 설문결과를 토대로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통계분석, 측정 변수들에 대한 신뢰성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론적 구성개념과 측정도구들 간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모형의 적합성 및 대안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모형의 적합성 여부도 함께 검증을 실시하였다. 나아가,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직접효과와 매개효과 및 직렬다중매개효과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영향력 검증 결과, 진성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성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간의 영향력 검증 결과, 진성리더십은 심리적 안전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성리더십과 지식공유 간의 영향력 검증 결과, 진성리더십은 지식공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심리적 안전감과 혁신행동 간의 영향력 검증 결과, 심리적 안전감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심리적 안전감과 지식공유 간의 영향력 검증 결과, 심리적 안전감은 지식공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간의 영향력 검증 결과, 지식공유는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성리더십은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하여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덟째,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성리더십은 지식공유를 매개하여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홉째,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지식공유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에 심리적 안전감과 지식공유의 직렬다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번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이 혁신행동과의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이라는 매개변수가 금번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에 참여한 기성세대와 MZ세대 모두에게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해 혁신을 추구해 가는데 있어 유효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진성리더십이 지식공유를 매개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없음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에서 직접효과에서는 진성리더십과 지식공유 그리고, 지식공유와 혁신행동 간에 유효한 결과가 나왔으나, 상대적으로 진성리더십과 지식공유 간의 효과계수와 상관관계 수치가 가장 낮았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진성리더십이 직렬다중매개의 형태로 심리적 안전감과 지식공유를 거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진성리더십의 혁신행동과의 영향관계에 있어 새로운 메카니즘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넷째, 울산지역 설비집약적인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체의 생산현장에서 근무하는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실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사의 최고경영층은 리더십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고, 나아가 리더 후보군의 발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리더십 교육을 전문조직에 의해 운영을 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심리적 안전감 확보를 위한 조직문화 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더 많은 지식공유를 통해 혁신행동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심리적 안전감 확보를 기반으로 지식공유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금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의 발현에 미칠 수 있는 선행변수를 살펴보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진성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촉진요인을 살펴보는 연구가 더욱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진성리더십 연구에 있어 심리적 안전감을 작동기제로 하는 선행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심리적 안전감이라는 변수로 다양한 작동기제의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울산지역 설비집약적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모든 유형의 제조업체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노동집약형 제조업 등으로 연구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제조업에서는 기본적으로 리더와 구성원들 간에 팀 단위의 프로젝트가 진행되므로 진성리더십이 개인 뿐 만 아니라 조직에 미치는 영향도 보다 체계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동일방법편의를 지양하여 응답자의 유형을 달리하면서 설문을 실시하는 등의 검증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리더십이 매개변수를 경유하여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해 가는 인과 관계적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Amid the rapid transition to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without border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ompanies is approaching an unpredictable situation. This ever-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requires companies to make new transformation in many area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effective leadership that makes members do their best for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is increasing. In particular, many companies have been retiring baby boomers, who have been the center of growth since the 1990s and the MZ generation, born after the 1980s, who is rapidly emerging as the core class of work, and companies are facing the reality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operations such as achieving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knowledge-based industrial revolution by overcoming such differences between older and MZ generations.
In the meantime, communication, fairness, and sincerity can be selected in attitudes and behaviors between leaders, members, and colleagues as the most important keywords penetrating current compan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leadership that is needed and appropriate for companies more than ever is authentic leadership. Furthermore, in the New Normal era, innovation in manufacturers is essential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survive as a sustainable company. As a key keyword is that voluntary and active behavior for innovation of all members of the company is important in securing a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it was judged as a meaningful study to examine the mechanisms and influences of innovative behaviors in domestic manufacturers.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authentic leadership affects innovation behavior, but noted the need to reinforce sophisticated operating mechanisms, and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examined knowledge sharing and psychological safety, which have a major influence o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on behavior.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is the first time that psychological safety has empirically verifi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that is,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by integrating it into a single mediating structur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 an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looked at the definition, components, and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e measurement too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ly studied questionnaires for empirical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ing at the production site of mid-sized and large-sized companies centered on facility-intensive manufacturing in Ulsan.
In addition, based on the collected survey results, demographic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correlation of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In addition,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valuated to verify the composition validity between theoretical constituent concepts and measurement tool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was also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alternative models. Furthermore,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rect effect,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serial multi-mediated effect using Process Macro.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safety, it was confirme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safety.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it was confirme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knowledge sharing.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knowledge sharing,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had a positive (+)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ix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knowledge shar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ven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authentic leadership affect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Eigh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authentic leadership did not affect innovative behavior through knowledge sharing. Nin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erial multi-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and knowledge sharing have a serial multi-mediated effec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has a valid influence on both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MZ gener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is time in pursuing innovation to achie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no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knowledge sharing. It is worth noting that in the empirical analysis, effective results were found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but the effect coefficient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was relatively the lowest, and the correlation value was also the lowest. Third, it was verifie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an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and knowledge sharing in the form of a serial multi-medium. It can b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mechanism as a new mechanism of operation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with innovative behavior. Fourth,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ing at the production site of companies centered on facility-intensive manufacturing in Ulsan.
Next,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ny's top management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education, and further establish a system that can thoroughly execute and monitor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organizations in charge of long-term and systematic leadership program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level to secure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Third, in order to expres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more knowledge sharing, knowledge sharing must be made based on securing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examining the preceding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expression of authentic leadership were insuffici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expand research to examine the facilitating factors that can demonstrate authentic leadership. Second, in the study of authentic leadership, there is a lack of prior studies that use psychological safety as an operating mechanism,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of various operating mechanisms as a variable of psychological safety. Third, since it was measured for facility-intensive manufacturers in Ulsan,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o all types of manufactur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 to labor-intensive manufacturing.
Fourth,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eam-level projects are basically carried out between leaders and members, so it is necessary to more systematically verify th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s as well as individuals, and to avoid the same method convenience. Fifth, since the influence of leadership on dependent variables through parameters shows causal phenomena that change and develop over time,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Author(s)
김태화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진성리더십혁신행동심리적 안전감지식공유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78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9723
Alternative Author(s)
Kim, Tae-Hwa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김해룡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Administration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