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한 산업안전 분야의 탐색적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산업재해와 안전사고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문재인 정부에서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산업재해 사망사고만인율 50% 감축을 목표로 산업안전보건법을 전부 개정하고,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하게 되었다.
최근 6년(2016년부터 2021년 6월)간 산업안전 관련한 언론보도 기사 3,647건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스타그램, 트위터, 블로그)의 컨텐츠 83,512건을 분석하였다. 언론보도 기사의 분석은 2016년 443건, 2017년 579건, 2018년 649건, 2019년 647건, 2020년 847건, 2021년 6월까지 482건을 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커뮤니티, 인스타그램, 블로그, 뉴스, 트위터)는 2016년 11,993건, 2017년 12,052건, 2018년 12,927건, 2019년 14,185건, 2020년 17,184건, 2021년 15,171건으로 언론보도 횟수와 소셜 서비스의 언급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최근 6년의 주요키워드를 분석해보면 매년 특징적인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서울 지하철 구의역 승강기 사고 관련 키워드, 2017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노동자의 산재승인 관련 키워드, 2018년 국민생명 지키기 프로젝트 관련 키워드, 2019년 태안 화력 발전소 사고 관련 키워드, 2020년 코로나와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과 중대재해처벌법 제정 관련 키워드, 2021년 광주 건물철거 붕괴사고와 중대재해처벌법 공포 관련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사고발생 이슈는 약 1개월간 언급량이 증가하였으며, 정책이슈는 약 3개월간 언급량이 증가하였다. 2020년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시 언급량이 증가하였고, 벌칙 규정이 강화된 2021년 중대재해처벌법은 제정 전부터 관련 키워드의 언급량이 증가하다 감소하였으며, 공포시점에 언급량이 급증하였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의 감정어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법안 제정에 따라 법안 적용시 예상되는 문제점,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산업재해 예방의 효과성에 대한 우려의 부정적인 반응과 관련한 키워드가 다수 확인되어 추후 법령개정시 실효성 있는 정책 개선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법안을 개정해야 할 것이다.
산업안전의 사회적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언론보도 기사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비정형 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연도별 키워드 분석으로 국민들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개정과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으로 국민들과 산업계에서 관심사와 우려사항을 분석하여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산업안전 정책을 개선·보완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Author(s)
박선규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산업안전텍스트마이닝산업안전보건법중대재해처벌법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986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6176
Alternative Author(s)
SunKyu PARK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안전보건전문학과
Advisor
장길상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보건전문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udies > 1. Theses(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