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분야 종사자의 국가기술자격 기능 효용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효능감의 매개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electrical field workers' perceptions of the functional utility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job self-efficacy and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 Abstract
- The progres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resulting from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our society are leading to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jobs. In this context, qualifications play a crucial role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occupational abilities,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labor market, and facilitating the matching of employers and job seeker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in South Korea see participation from over 2 million individuals annually, with a cumulative acquisition exceeding 32 million, serving as a recognized and signaling mechanism for vocational competencies. However, empirical research from a social and managerial perspective o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is limited, highlighting the need for diverse and in-depth studie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mechanisms of qualification system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256 survey data collected from holder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mong attendees of a training course for electrical workers at Association A located in Anyang-si,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AMOS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signaling, leading, and screening function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signaling and leading function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but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screening fun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signaling and leading function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efficacy, while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screening fun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Fourth, job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 job performance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signaling function and leading fun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mediating th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r job performance. Fifth, it was confirmed that a high level of digital literacy positively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signaling function and leading fun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nd job efficacy, showing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at increases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or job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adv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ultifaceted function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by introducing perceived functional utility as a precursor variable. By empirically demonstrat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job self-efficacy, the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more systematic research in the future. Additionally, it provides theoretical support for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considerations in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of our society. In practical terms, it suggests the need for a dual evaluation approach, combining quantitative assessments such as the number of qualification candidates, employment rates, and wages with qualitative evaluations of the functional utility of qualifications. This approach can enhance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qualification systems, assess their appropriateness, and deepen understanding of their utility as criteria for personnel management. The study also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ongoing support for continuou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skill formation post-qualification acquisi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a certain level of digital literacy into the qualification system.|제4차 산업혁명의 진전과 우리 사회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술의 혁신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는 노동시장의 구조와 일자리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 러한 상황에서 자격은 개인이 보유한 직업능력 정보를 제공하여 노동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을 줄여주고 구인-구직자 간의 합치를 이루는 데에 중요한 역 할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국가기술자격은 매년 2백만 명 이상이 응시하고 있으며 누적 취득자 수가 3천2백만 명이 넘어선 직업능력의 인정 및 신호 기 제로서 역할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경영학 관점에서 국가기술자격과 관련된 실증 연구는 미미한 실정으로 자격 제도의 기능과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의 기능 효용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관계를 설명하고, 이 들 관계에 있어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규명 함으로써 국가기술자격 제도의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A 협회에서 전기분야 종사 자를 대상으로 한 훈련과정 참석자 중 국가기술자격 소지자들로부터 수집된 256건의 설문 데이터를 SPSS와 Process Macro, 그리고 AMOS 프로그램을 활 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술자격의 신호기능, 선도기능, 선별기능 효용성 인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기술자격의 신호기능과 선도기능 효용성 인식은 직무성과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가기술자격의 선별기능 효용 성 인식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국가기술자격의 신호기능 과 선도기능 효용성 인식은 직무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국가기술자격의 선별기능 효용성 인식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직무효능감은 국가기술자격의 신호기능과 선도기능 효용성 인식 이 직무만족 또는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부분 매개하여 직무만족 또는 직무성 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높은 수준의 디지털 리 터러시는 국가기술자격의 신호기능과 선도기능 효용성 인식과 직무효능감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여 직무만족 또는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높여주 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단일차원의 조사에 그쳤던 국가기술자격의 기능을 자격의 기능 효용성 인식이라는 선행 변인으로 제시하고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직접 효과와 직무효능감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간접효과를 실증함으로써 향후 자격 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기틀 마련과 확장성에 있어 학문적 의의가 있 다. 또한 우리 사회의 디지털 전환을 맞이하여 국가기술자격 제도의 설계와 운영에 있어 디지털 리터러시의 반영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실무 적으로는 국가기술자격의 효용성 평가에 있어 그간 자격 응시인원, 취업, 임금 과 같은 정량적 평가와 함께 자격의 기능 효용성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병행 함으로써 자격 검정체계의 적정성과 능력의 형성, 인적자원의 관리 기준으로 서의 활용성을 보다 심도 있게 파악하여 자격제도의 품질관리체계를 고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격취득과 입직 이후 지속적인 직업능력개발 과 숙련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자격 제도에 있어 일정 수준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국가기술자격, 자격의 기능 효용성 인식, 직무만족, 직무성과, 직무효 능감, 디지털 리터러시
- Author(s)
- 유지용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국가기술자격; 자격 기능 효용성; 직무만족; 직무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12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1953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