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A공공기관의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소진이 팀 성과에 미치는 과정과 상황을 함께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각 변수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직무소진이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립한 가설 검증을 위해 고성과작업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A공공기관에 근무 중인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부터 수집된 272부의 설문지 중 여러 문항에 동일한 답변을 체크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일관성이 보이지 않은 등의 불성실 응답 데이터를 삭제한 254부의 설문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주된 가설인 고성과작업시스템과 팀 성과의 상관관계에서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선행연구에서 일관되게 주장되어지고 있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그리고 직무소진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절차공정성은 직무소진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절차공정성에 의해 조절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도입되어온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의 성과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개인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절차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근로자의 경우 인식이 낮은 집단에 비해 부(-)적 영향이 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팀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다시한번 확인하였으며,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절차공정성 인식에 따른 변화 역시 함께 검증함으로써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조직의 차원뿐 아니라 개인적 차원의 실익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조직에서도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성과 향상이라는 도입목적에 맞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직운영에 있어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함을 확인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This study looked at the impact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team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i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job burnout taking into account the processes and circumstances leading to team performance were verified. Through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arameter, th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job burnout were to be identified how the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To verify the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254 of the 272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target b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ing at the A public institute with a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were implemented by checking the same answers in several of the questions, or by deleting the data on insincere responses, such as abnormal inconsistencies.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team performance, was that th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once again confirming the posi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which has been consistently claimed in precedent stud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burnou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performance working system and the team performance. procedural justice moderated the influence of job burnout on team performance. Finally, in relation to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team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djusted by procedural justice wa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introduc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did not on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but also reduced the job burnout of the members. In addition, for groups with higher awareness of procedural justice, it was shown that these interactions were less negative than for those with lower levels of.
Through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cess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leading to team performance, verified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procedural justice of the members to the organization, and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the organizational level of th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but also the personal level of benefit of th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the organization also confirmed that justice in organizational operation must be ensured in order to obtain results that meet the introduction objective of improved performance.
Author(s)
최진혁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02
Type
Dissertation
Keyword
고성과작업시스템직무소진팀 성과절차공정성조절된 매개 효과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11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1021
Alternative Author(s)
CHOI JIN HYUK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HRD컨설팅학과
Advisor
김성훈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HRD컨설팅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nsulting > 1. Theses(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